직장인 커뮤니티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경험연구: 블라인드, 리멤버 중심으로

이 연구는 국내 직장인 커뮤니티 애플리케이션인 블라인드와 리멤버의 사용자 경험을 측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MARS)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블라인드 사용자 4명, 리멤버 사용자 4명, 총 8명의 피험자에게 심층 인터뷰를 진행해 직장인 커뮤니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두 애플리케이션은 직장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상 연령은 청년부터 일반 성인이다. 주요 초점은 커뮤니티 애플리케이션이므로 행동 변화와 목표 설정에 집...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Digital Art Engineering and Multimedia pp. 335 - 343
Main Authors 임선영, 김승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01.09.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08-9099
2672-1198
DOI10.29056/jdaem.2024.09.0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국내 직장인 커뮤니티 애플리케이션인 블라인드와 리멤버의 사용자 경험을 측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 (MARS)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블라인드 사용자 4명, 리멤버 사용자 4명, 총 8명의 피험자에게 심층 인터뷰를 진행해 직장인 커뮤니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두 애플리케이션은 직장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상 연령은 청년부터 일반 성인이다. 주요 초점은 커뮤니티 애플리케이션이므로 행동 변화와 목표 설정에 집중하였으며, 이론적 배경과 기술적인 요소는 대부분 포함되어 있다. 두 애플리케이션 모두 기능성, 심미성, 정보, 참여의 순서로 점수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객관적 평가에서는 모든 영역이 만족스러운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주관적 평가에서는 객관적 평가에 비해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직장인 커뮤니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이 개선되고, 치열해지는 커뮤니티 애플리케이션의 경쟁 속에서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 구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user experience of the Korean workplace community applications, Blind and Remember. The Mobile Application Rating Scale(MARS)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a survey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8 participants, including 4 Blind users and 4 Remember users, to further investigate the workplace community application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both apps target working professionals, including adults and the general public. The main focus of the study was on community apps, emphasizing behavioral changes and goal setting, with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echnical aspects mostly included. Both apps received high scores in functionality, aesthetics, information, and engagement, with satisfactory ratings in all objective evaluations. However, subjective evaluations revealed lower scores compared to objective evaluations.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he usability of workplace community applications will be improved, contributing to a differentiated user experience in the competitive landscape of community applications. It is also hoped that this study will assist in future user experience research in other field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nciss.or.kr/xml/xmldom.asp?xmlidx=NCISS1128_1295
ISSN:2508-9099
2672-1198
DOI:10.29056/jdaem.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