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서 발견된 항-K의 원인에 대한 의견

K 항원은 Kell 혈액형 시스템의 38개의 면역원성 항원 중 하나로, 심각한 용혈수혈반응(HTR)과태아신생아용혈질환(HDFN)을 유발한다. K 항원의빈도는 인종에 따라 다르며, 서양 인구의 9.02%가K+인 반면, 한국인에서는 0.0%로 나타난다. 이에따라 항-K의 발생률과 원인도 인종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항체 선별/동정 검사에서 간혹 항-K가 검출되었지만, 한국에서는 용혈수혈반응이 아직까지는 보고된 바 없다. 저자들은 삼성서울병원에서 지난 5년간 확인된 아홉 건의 항-K 사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대부분 한국인이었다. 항-...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aehan Suhyŏl Hakhoe chi pp. 121 - 125
Main Authors 이종권, 서지영(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 조 덕(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수혈학회 01.08.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9336
2383-6881
DOI10.17945/kjbt.2024.35.2.12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K 항원은 Kell 혈액형 시스템의 38개의 면역원성 항원 중 하나로, 심각한 용혈수혈반응(HTR)과태아신생아용혈질환(HDFN)을 유발한다. K 항원의빈도는 인종에 따라 다르며, 서양 인구의 9.02%가K+인 반면, 한국인에서는 0.0%로 나타난다. 이에따라 항-K의 발생률과 원인도 인종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항체 선별/동정 검사에서 간혹 항-K가 검출되었지만, 한국에서는 용혈수혈반응이 아직까지는 보고된 바 없다. 저자들은 삼성서울병원에서 지난 5년간 확인된 아홉 건의 항-K 사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대부분 한국인이었다. 항-K를 유발하는 것으로 K 항원 양성 헌혈자의 혈액 수혈, 임신, 또는 감염과 같은 명확한 원인은 본 연구에서확인되지 않았다. K 항원을 가진 다른 인종의 이민증가가 항-K 형성의 주된 원인으로 그간 추측되어왔다. 하지만, 최근 문헌과 본 연구에서 보고된 K+ 빈도를 감안할 때, “알 수 없는 원인”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흔할 수 있으며, 정확한 원인을규명하기 위해서는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 K antigen, one of the 38 immunogenic antigens in the Kell blood group system, can cause severe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s (HTR) and hemolytic disease of the fetus and newborn (HDFN). The frequency of incidence of the K antigen varies by race (9.02% of Western populations are K+ compared to 0.0% in Koreans), and the incidence and causes of anti-K vary accordingly. Anti-K have occasionally been detected in antibody screening/ identification tests, but no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so far.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nine cases of anti-K identified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over the past five years, most of which involved Koreans. No clear causes, such as the transfusion of K antigen-positive donor blood, pregnancy, or infections known to trigger anti-K, were identified. It has been speculated that the increased immigration of people of different races with the K antigen might be a reason for the anti-K formation. However, given the frequency of K+ reported in recent literature and observed in our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se “unknown causes” may be more common than previously believed. Hence, prospective studies are warranted to identify these causes more accurately.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9336
2383-6881
DOI:10.17945/kjbt.2024.35.2.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