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자유주의의 반(反)극단주의적 전통에 관한 연구: ‘냉전 자유주의’ 담론 및 이사야 벌린의 사상을 중심으로
이 논문은 20세기 중반의 시기, 자유사회 안팎의 위협에 맞서 이사야 벌린을 중심으로 형성 된 반(反)극단주의적 성향의 자유주의 전통에 관한 사상사적 분석을 제시한다. 전후시기 자유 주의 전통의 온건하고 절제된 지평에 대한 검토가 오늘날 자유주의를 둘러싼 오해를 바로잡고 심화되는 이념적 양극화 문제에 대응하는데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는 점을 주장하며 이 논문은 다음의 분석을 전개한다: 먼저, 우리는 ‘냉전 자유주의’ 개념을 둘러싼 최근의 논쟁의 지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 시기의 자유주의 전통에 대한 재조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다...
Saved in:
Published in | 현대정치연구, 17(2) pp. 229 - 26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현대정치연구소
01.08.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6-9466 2635-6015 |
Cover
Loading…
Summary: | 이 논문은 20세기 중반의 시기, 자유사회 안팎의 위협에 맞서 이사야 벌린을 중심으로 형성 된 반(反)극단주의적 성향의 자유주의 전통에 관한 사상사적 분석을 제시한다. 전후시기 자유 주의 전통의 온건하고 절제된 지평에 대한 검토가 오늘날 자유주의를 둘러싼 오해를 바로잡고 심화되는 이념적 양극화 문제에 대응하는데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는 점을 주장하며 이 논문은 다음의 분석을 전개한다: 먼저, 우리는 ‘냉전 자유주의’ 개념을 둘러싼 최근의 논쟁의 지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 시기의 자유주의 전통에 대한 재조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다음으로 우리는 이사야 벌린을 중심으로 형성된 자유주의의 구체적 내용을 검토한다. 결론에서는 이 연구가 우리사회에 시사하는 구체적인 함의를 제시한다. This paper examines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ideas ― the anti-extremist and moderate liberal tradition developed in the postwar period, which was formed by a group of mid-20th century Western thinkers, most notably by Isaiah Berlin, who struggled to defend liberal values and culture amidst the threat of totalitarian regimes and the frenzy of McCarthyism. Recently, grow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postwar liberal tradition along with the resurgence of ideological polarization as an important political issue today; and how to evaluate the tradition, particularly around the concept of ‘Cold War liberalism,’ has become a major subject of debate among the contemporary (mostly Western) scholars of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We argue that examining these efforts has vital implications for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road horizons of liberalism in Korean society. Thus, we offer the following analyses: First, we critically explore the terrain of recent discourse surrounding the concept of ‘Cold War liberalism’ and emphasize the need for revisiting the ‘moderate’ liberal tradition of the postwar period. Next, we examine the key elements of the anti-utopian liberalism formulated by Berlin and his contemporary moderate liberals. The conclusion offers some reflections on what implications could be drawn from the tradition for a more liberal and decent society in Korea.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976-9466 2635-6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