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가 시력 측정

목적: 한국어 사용자를 위해 개발한 시력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자가 시력 측정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만 20세 이상 성인 52명을 대상으로 31명은 진용한 시력표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거리 시력, 21명은 한천석 근거리 시력표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근거리 시력을 측정하였다. 원·근거리 시력별로 시력표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시력 측정과 소요 시간을 비교하였다. 시력은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으로 환산하였다. 어플리케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pp. 378 - 385
Main Authors 김세정, 김유현, 오민경, 문성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01.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한국어 사용자를 위해 개발한 시력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자가 시력 측정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만 20세 이상 성인 52명을 대상으로 31명은 진용한 시력표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거리 시력, 21명은 한천석 근거리 시력표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근거리 시력을 측정하였다. 원·근거리 시력별로 시력표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시력 측정과 소요 시간을 비교하였다. 시력은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으로 환산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의 음성인식률을 숫자 2-9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근거리 logMAR 시력은 한천석 근거리 시력표 0.29 ± 0.28, 어플리케이션 0.30 ± 0.43 (p=1.000), 원거리 logMAR 시력은진용한 시력표 0.19 ± 5.89, 어플리케이션은 0.20 ± 0.27로 원·근거리 시력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시력표를 이용한 원·근거리 시력 측정 시간은 모두 평균 19초였으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근거리 시력 측정 시간은 각각 42초, 38초로 유의한 차이가있었다(p<0.005). 음성인식률은 숫자 2-9 전체 평균 87%였고, 가장 낮은 음성인식률은 숫자 7 (79%), 가장 높은 인식률은 숫자 4 (91%)였다. 결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시력 측정은 기존의 시력 측정과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소요 시간에 차이가 나지만 집에서도 스마트폰으로 원·근거리 시력 측정이 가능하여, 안과를 방문하기 힘든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We evaluated the accuracy and usefulness of self-assessment of visual acuity (VA)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Korean users and explored its potential application in screening eye diseases. Methods: In total, 52 participants aged ≥ 20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Of these participants, 31 used Jin Yong-Han’s VA chart and the smartphone application to measure their distant visual acuity (DVA), whereas 21 used Han Chun-Seok’s near visual acuity chart and the application to measure their near visual acuity (NVA). The results and time required for VA measurement using both methods were compared. VA was converted to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 for analysis. The voice recognition rate of the application for numbers 2-9 was assessed. Results: The mean NVA was 0.29 ± 0.28 using Han’s chart and 0.30 ± 0.43 using the application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1.00). The mean DVA was 0.19 ± 5.89 using Jin's chart and 0.20 ± 0.27 using the application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p = 0.19). The average time spent for measuring NVA and DVA was 19 seconds (s) using Han’s and Jin's charts, whereas it was 42 and 38 s for measuring NVA and DVA using the application. The voice recognition rate of the application was 87% on average for numbers 2-9, with the highest rate for number 7 (79%) and the lowest rate for number 4 (91%). Conclusions: Self-assessment of VA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exhibited similar results to conventional VA measurement methods. Although the measurement time varied, DVA and NVA could be measured at home using a smartphone, and would be particularly useful for those who have difficulty visiting a hospital.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
DOI:10.3341/jkos.2024.65.6.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