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평 포스트와 이중중합 복합레진으로 수복된 치관-치근 복합파절 치아의 파절 저항성에 관한 연구
이 연구의 목적은 이중 중합 복합레진과 수평 포스트를 이용하여 수복한 치관-치근 복합파절 치아의 수직파절 저항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48개의 발치된 사람의 소구치에 실험적으로 치관-치근 복합파절을 일으킨 후 대조군 및 3개의 실험군에 (n=12) 각각 할당하였다. 대조군에서는 치아 파절편을 레진시멘트를 이용하여 접착한 후 근관치료를 시행하고, 근관와동을 이중중합 복합레진을 사용하여 충전하였다. 실험군에서는, 각각의 치아에 근관치료를 시행한 후 레진-포스트 군에서는 근관와동을 수평 포스트 및 이중중합 복합레진을 사용하여 충전하였...
Saved in:
Published in |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pp. 383 - 389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치과보존학회
01.09.200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4-7658 2234-7666 |
Cover
Summary: | 이 연구의 목적은 이중 중합 복합레진과 수평 포스트를 이용하여 수복한 치관-치근 복합파절 치아의 수직파절 저항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48개의 발치된 사람의 소구치에 실험적으로 치관-치근 복합파절을 일으킨 후 대조군 및 3개의 실험군에 (n=12) 각각 할당하였다. 대조군에서는 치아 파절편을 레진시멘트를 이용하여 접착한 후 근관치료를 시행하고, 근관와동을 이중중합 복합레진을 사용하여 충전하였다. 실험군에서는, 각각의 치아에 근관치료를 시행한 후 레진-포스트 군에서는 근관와동을 수평 포스트 및 이중중합 복합레진을 사용하여 충전하였다. 레진 군에서는 근관와동을 포스트 없이 이중중합 복합레진만 사용하여 수복하였으며 아말감 코어 군에서는 근관와동을 접착 아말감을 사용하여 수복하였다. 이렇게 수복된 치아를 처음과 같은 방법으로 다시 치관-치근 복합파절을 유도하여 이때의 파절 저항성을 기록하고 이 값과 처음 파절을 유도하였을 때의 파절 저항성의 비를 계산하고 각 군별로 차이가 있는 지 검증하기 위해 Kruskal-Wallis test를 시행하였다. 수복된 치아의 파절저항성은 레진-포스트군, 대조군, 레진군, 접착 아말감 순으로
높았으며, 이 실험결과로 볼 때, 치관-치근 복합파절 치아의 수복 시 수평 포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재파절 방지를 위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acture resistance of crown-root fractured teeth repaired
with dual-cured composite resin and horizontal posts. 48 extracted human premolars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and three experimental groups. Complete crown-root fractures were experimentally induced in
all control and experimental teeth. In the control group, the teeth (n=12) were bonded with resin cement
and endodontically treated. Thereafter, the access cavities were sealed with dual-cured composite resin. In
composite resin core - post group (n=12), the teeth were endodontically treated and access cavities were
sealed with dual-cured composite resin. In addition, the fractured segments in this group were fixed using
horizontal posts. In composite resin core group (n=12), the teeth were endodontically treated and the
access cavities were filled with dual-cured composite resin without horizontal posts. In bonded amalgam
group (n=12), the teeth were endodontically treated and the access cavities were sealed with bonded
amalgam. Experimental complete crown-root fractures were induced again on repaired control and experimental
teeth. The ratio of fracture resistance to original fracture resistance was analyzed with Kruskal-
Wallis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eeth in control and composite resin core - pos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sistance to re-fracture than those in amalgam core group (p < 0.05). The resistance to refracture
was high in the order of composite resin - post group, control group, composite resin group and
bonded amalgam group. Within the scope of this study, the use of horizontal post could be beneficial in
increasing the fracture resistance of previously fractured teeth.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SER000003268.2009.34.5.005 |
ISSN: | 2234-7658 2234-76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