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진시멘트의 중합방법이 포스트의 결합강도와 접착계면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2종의 이원중합 레진시멘트 (RelyX ARC와 Variolink Ⅱ)를 이용하여 접착제와 레진시멘트의 중합방법 (자가중합과 광중합)이 섬유포스트와 근관 상아질의 결합강도와 접착계면에 미치는 영향을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단근관을 갖는 발거된 32개의 하악 소구치에 근관을 충전한 후, FRC Postec system의 Reamer로 9 ㎜ 깊이의 포스트 공간을 형성하였다. 레진시멘트의 종류와 중합방법에 따라 4개의 군 (R-SC 군, R-LC 군, V-SC 군, V-LC군)으로 분류하였다. 포스트 공간에 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pp. 103 - 112
Main Authors 김문홍, 김혜정, 조영곤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치과보존학회 01.03.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4-7658
2234-766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2종의 이원중합 레진시멘트 (RelyX ARC와 Variolink Ⅱ)를 이용하여 접착제와 레진시멘트의 중합방법 (자가중합과 광중합)이 섬유포스트와 근관 상아질의 결합강도와 접착계면에 미치는 영향을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단근관을 갖는 발거된 32개의 하악 소구치에 근관을 충전한 후, FRC Postec system의 Reamer로 9 ㎜ 깊이의 포스트 공간을 형성하였다. 레진시멘트의 종류와 중합방법에 따라 4개의 군 (R-SC 군, R-LC 군, V-SC 군, V-LC군)으로 분류하였다. 포스트 공간에 각 군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 레진시멘트를 주입하고, No. 3 FRC Postec 포스트를 위치시켜 자가중합 또는 광중합시켰다. 각 군의 치근을 실온의 증류수에 24시간동안 보관한 다음, 저속의 diamond wheel saw를 이용하여 치관부에서 치근단부를 향해 1.5 ㎜ 두께로 연속적으로 횡절단하여 1개의 치근에서 3개의 절편을 얻었다. 각 군의 절편 (21개)은 만능시험기에서 push-out 검사를 시행하였고, 각 군의 강도 값은 반복측정 two-way ANOVA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각 군의 절편 (3개)은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섬유포스트, 레진시멘트 및 치근 상아질 간의 계면을 관찰,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 부식 레진시멘트를 이용하여 섬유포스트를 포스트 공간에 합착할 경우, 접착제와 레진시멘트의 중합방법은 근관 상아질의 결합강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광중합보다 자가중합 방법이 우수한 결합강도와 계면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curing methods of adhesive resins and resin cements in the root canal. Crown portions of 32 single-rooted mandibular premolars were removed. Routine endodontic treatment was done, and 9 ㎜ deep post spaces were prepared within root canals. No. 3 FRC Postec posts (Ivoclar-Vivadent AG, Liechtenstein) were cemented in the post spaces by self-(SC) or lightcuring (LC) using two dual-cured adhesives (Adper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and Exite DSC )and resin cements (RelyX ARC and Variolink II). They were assigned to 4 groups (n=8); R-SC, R-LC, V-SC,V-LC group. After stored in distilled water for 24 hours, each root was transversally sectioned with 1.5 ㎜ thick and made three slices. The specimens were subjected to push-out test in a universal testing machine (EZ Test, Shimadzu Co., Japan) with a crosshead speed of 1 ㎜/mi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repeated ANOVA and one-way ANOVA. Also the interface of post-resin cement and resin cement-canal wall of each group was observed under FE-SEM. When fiber posts were cemented into the root canal using total-etch adhesives, the bond strength and adaptation between post and root canal dentin was affected by curing method. Self-cure of adhesives and resin cements showed higher bond strength and closer adaptation than light-cure of them. KCI Citation Count: 4
Bibliography:G704-SER000003268.2009.34.2.006
ISSN:2234-7658
2234-7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