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급 와동에서 저유동성과 고유동성 레진의 변연 미세누출 비교

이 연구는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와 저유동성 및 고유동성 레진을 이용한 5급 와동 수복물에서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의 미세누출 차이를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40개의 대구치의 협, 설면 치경부에 5급 와동을 형성하고, 8개씩 무작위로 선택하여 사용된 유동성 레진에 따라 5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의 와동을 유동성 레진으로 충전하였다 (대조군: Filtek Z 350, M-LF 군: Metafil Flo α, U-LF 군:Unifil LoFlo Plus, M-HF 군: Metafil Flo, U-HF 군: Unifil Fl...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pp. 477 - 483
Main Authors 배상배, 조영곤, 이명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치과보존학회 01.11.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와 저유동성 및 고유동성 레진을 이용한 5급 와동 수복물에서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의 미세누출 차이를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40개의 대구치의 협, 설면 치경부에 5급 와동을 형성하고, 8개씩 무작위로 선택하여 사용된 유동성 레진에 따라 5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의 와동을 유동성 레진으로 충전하였다 (대조군: Filtek Z 350, M-LF 군: Metafil Flo α, U-LF 군:Unifil LoFlo Plus, M-HF 군: Metafil Flo, U-HF 군: Unifil Flow). 각 군의 치아를 2% methylene blue 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적시킨 다음, 협면과 설면의 5급 수복물의 중앙부가 통과되도록 절단하였다. 각 군의 절단 시편에서 유동성 레진 수복물의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부를 광학 입체현미경 하에서 색소침투 정도를 관찰하여 미세누출 점수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와 유동성 레진을 이용하여 5급 와동을 충전한 경우, 고유동성 레진보다 저유동성 레진이 낮은 변연 미세누출을 나타내어 5급 와동에서 저유동성 레진의 사용이 추천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icroleakage of low and high viscosity flowable resins in class V cavities applied with 1-step adhesives. Forty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on the cervices of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extracted molar teeth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n=8). Cavities were restored with AQ Bond Plus /Metafil Flo α, GBond/UniFil LoFlo Plus (Low flow groups), AQ Bond Plus/Metafil Flo and G-Bond/UniFil Flow (High flow group), respectively. Specimens were immersed in a 2% methylene blue solution for 24 hours, and bisected longitudinally. They were observed microleakages at the enamel and dentinal margins. In conclusion, the low viscosity flowable resins showed lower marginal microleakage than do the high viscosity flowable resins in class V cavities.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SER000003268.2009.34.6.001
ISSN:2234-7658
2234-7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