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진 직접법을 이용한 치가이개의 수복: 치은 형태 회복술

전치부 치간이개를 치료할 때 가장 어려운 것은 레진으로 축성 후 치아 사이의“black triangle”없이 치간공극을 메우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치경부 형태와 접촉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치은 형태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증례보고는 적절한 접촉점을 형성하기 위해 비침습적 방법을 사용하여 접촉점의 위치를 설정하였다. 또한 치은-치아 사이에 위치한 Mylar strip을 이용한 기존의 방법을 바꾸어 자연스러운 형태를 갖도록 변형하였다. Mylar strip을 치은연 상방으로 약 1 mm 정도 되게 치은열구에 위치시키고 작은 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pp. 515 - 520
Main Authors 김연화, 조용범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치과보존학회 01.11.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4-7658
2234-766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전치부 치간이개를 치료할 때 가장 어려운 것은 레진으로 축성 후 치아 사이의“black triangle”없이 치간공극을 메우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치경부 형태와 접촉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치은 형태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증례보고는 적절한 접촉점을 형성하기 위해 비침습적 방법을 사용하여 접촉점의 위치를 설정하였다. 또한 치은-치아 사이에 위치한 Mylar strip을 이용한 기존의 방법을 바꾸어 자연스러운 형태를 갖도록 변형하였다. Mylar strip을 치은연 상방으로 약 1 mm 정도 되게 치은열구에 위치시키고 작은 면구를 치은과 그 사이에 위치시켜 출현윤곽(emergence contour)을 부여하였다. 이와 같은 변형된 방법은 적절한 출현윤곽과 치은형태를 형성하는데 유용하였으며, 임상적용에 유효하였다. One of the most challenging task in closing anterior diastema is avoiding “black triangle”between the teeth. This paper reports a case that the closure of diastema in anterior teeth could be successfully accomplished using direct adhesive restorations and gingival recontouring. The traditional technique using Mylar strip was modified to increase the emergence profile with natural contours at the gingival-tooth interface. Mylar strip was extended out of the sulcus by approximately 1 mm high from the gingival margin, and a small cotton pellet was used to provide the emergence contour. This modified approach is acceptable for the clinical situation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SER000003268.2011.36.6.007
ISSN:2234-7658
2234-7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