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과산화수소 함유 전문가용 치아 미백제의 광활성화 여부에 따른 미백효과 및 안전성에 관한 임상평가
연구목적: 본 임상 연구의 목적은 15%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전문가용 치아 미백제의 광활성화 여부에 따른 미백효과와 안전성에 관해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3명의 지원자를 광조사를 하는 실험군(n = 17)과 광조사를 하지 않는 대조군(n = 16)으로 무작위로나누고 Zoom2 미백제(15% H2O2, Discus Dental)로 총 45분간 치료하였다.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와Shadepilot (DeguDent)을 이용해 스크리닝 검사 시, 미백직후, 미백 종료 1달 및 3달 후 색...
Saved in:
Published in |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pp. 306 - 312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치과보존학회
01.07.201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4-7658 2234-7666 |
Cover
Summary: | 연구목적: 본 임상 연구의 목적은 15%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전문가용 치아 미백제의 광활성화 여부에 따른 미백효과와 안전성에 관해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3명의 지원자를 광조사를 하는 실험군(n = 17)과 광조사를 하지 않는 대조군(n = 16)으로 무작위로나누고 Zoom2 미백제(15% H2O2, Discus Dental)로 총 45분간 치료하였다.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와Shadepilot (DeguDent)을 이용해 스크리닝 검사 시, 미백직후, 미백 종료 1달 및 3달 후 색조측정을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t-test, repeated measure ANOVA 와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Zoom2 미백제는 미백 전후를 비교할 때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뚜렷한 색조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두 군 사이의 색조 변화량을 비교했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 > 0.05). 또한 미백 종료 3달 후에도 치아의 색조 회귀는 관찰되지 않았다. 미백 후 일시적인 지각과민증은 전체 환자의 39.4%에서 보고되었지만, 두 군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 > 0.05).
결론: 광조사로 인해 부가적인 미백효과의 증가는 물론 어떠한 부작용 증가도 관찰되지 않았다. Objectives: This clinical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light activation on the whitening efficacy and safety of in-office bleaching system containing 15% hydrogen peroxide gel.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hree volunteers were randomly treated with (n = 17, experimental group)or without light activation (n = 16, control group), using Zoom2 white gel (15% H2O2, Discus Dental) for a total treatment time of 45 min. Visual and instrumental color measurements were obtained using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 and Shadepilot (DeguDent) at screening test, after bleaching, and 1 month and 3month after bleach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repeated measure ANOVA, and chi-squared test.
Results: Zoom2 white gel produced significant shade changes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hen pre-treatment shade was compared with that after bleaching. However, shad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Tooth shade relapse was not detected at 3 months after bleaching. The incidence of transient tooth sensitivity was 39.4%, with being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The application of light activation with Zoom2 white gel system neither achieved additional whitening effects nor showed more detrimental influences. [J Kor Acad Cons Dent 2011;36(4):306-312.]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G704-SER000003268.2011.36.4.001 |
ISSN: | 2234-7658 2234-76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