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폐암검진사업에서 금연상담의 문제점과 대안: 전문가 설문조사
연구배경: 2019년부터 고위험군 흡연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국가폐암검진사업은 검진 후 의사로부터 검진 결과상담을 제공하고, 결과상담 시 금연상담을 필수 항목으로 정하고 있지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금연상담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폐암검진에서 금연상담의 실태, 문제점, 개선 방안을 조사하였다. 방법: 금연상담의 실태(폐암검진 결과상담 시 금연상담의 여부,방법, 금연약물처방 빈도 등)와 개선방안(수검자/상담 의사/병원 경영자/정부 측면)에 대한 설문을 구성하였다. 2023년 12월에 국가폐암검진 시행 건수가 많은...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금연학회지, 15(2) pp. 49 - 56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금연학회
01.06.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3-0828 2586-0348 |
DOI | 10.25055/JKSRNT.2024.15.2.49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2019년부터 고위험군 흡연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국가폐암검진사업은 검진 후 의사로부터 검진 결과상담을 제공하고, 결과상담 시 금연상담을 필수 항목으로 정하고 있지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금연상담을 활성화하기 위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폐암검진에서 금연상담의 실태, 문제점, 개선 방안을 조사하였다.
방법: 금연상담의 실태(폐암검진 결과상담 시 금연상담의 여부,방법, 금연약물처방 빈도 등)와 개선방안(수검자/상담 의사/병원 경영자/정부 측면)에 대한 설문을 구성하였다. 2023년 12월에 국가폐암검진 시행 건수가 많은 100대 기관에 협조를 구하여 총 35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복수 응답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 설문 별로 빈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35명의 전문가 중 ‘흡연자 모두에게 금연상담을 제공한다’ 는 비율은 71.4%였고, 금연상담 방법은 ‘결과상담 당일 3분 이내로 진행한다’는 비율이 61.1%로 가장 높았다. 금연진료 방식에 대한 질문에서, ‘당일 금연치료지원사업에 등록하여 약을 처방한다’는 비율은 36.1%였다. 금연약물처방에 대한 질문에서, ‘처방해본 적이 없다’는 비율이 30.6%로 가장 높았고, ‘자주 처방한다’는 비율은 13.9%였다. 금연상담을 개선하는 방안으로, 수검자 측면에선 ‘폐암검진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가장 높았고(55.6%), 상담 의사 측면과 정부 측면에선 금연약물 급여화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모두 58.3%). 병원 경영 측면에선 금연상담 수가를 높이는 응답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63.9%).
결론: 폐암검진과 금연상담에 적극적인 전문가들조차 실제 금연치료약물을 처방하는 비율이 낮았다. 응답한 전문가들은 수가인상, 금연약물 및 치료 급여화, 상담료 별도 책정 등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Since 2019, the National Lung Cancer Screening Program, which targets high-risk smokers, has made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mandatory during result consultations in Korea. To implement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we surveyed experts to investigate the status,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Methods: We designed a survey to assess the status of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including whether it is conducted during lung cancer screening result consultations, methods used, frequency of prescribing smoking cessation medications, among others) and improvement measures (from the perspectives of examinees, counseling physicians, clinic manager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December 2023, we sought cooperation from the top 100 institutions with high screening implementation rates and received responses from 35 individuals, including counseling physicians and smoking cessation specialists. We allowed for multiple responses and described the frequency for each survey separately.
Results: Of smokers, 71.4% received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primarily within 3minutes on the result consultation day (61.1%). Only 36.1% of smokers were registered for same-day support programs and medication prescriptions. Only 13.9% of smokers were frequently prescribed cessation medications, with 30.6% having never been prescribed cessation medication. Improvement suggestions included showing lung cancer screening results (55.6% by examinees), reimbursement for medications (58.3% by physicians and government), and increasing counseling sessions (63.9% by clinic management).
Conclusion: Even among proactive experts in lung cancer screening and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frequency of actual prescription of cessation medications was low. Experts suggested alternatives such as increasing reimbursement, coverage for smoking cessation medications and treatment, and separate pricing for counseling.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www.jksrnt.org/journal/view.html?uid=221&&vmd=Full |
ISSN: | 2093-0828 2586-0348 |
DOI: | 10.25055/JKSRNT.2024.15.2.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