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티누스와 공동선

대 사회는 공동선의 위기 문제를 겪고 있다. 강자가 사적인 이해관계를 앞세워 다른 시민을 지배하고 공적 영역을 전유하려는 현상은 대표적인 병폐일 것이다. 본 논문은 신국론 의 아우구스티누스가 현대의 공동선 위기에 어떤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로마 전통의 공동선 개념을 비판하고 그리스도교 신학의 입장에서 새로운 공동선 개념을 제시했다고 알려져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와 키케로는 사람이 학문을 연마하고 시민적 덕성을 함양함으로써 훌륭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다거나 시민들이 공적 영역에 참여하여 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Pŏpch'ŏrhak yŏn'gu pp. 389 - 445
Main Author 하재홍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법철학회 01.04.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대 사회는 공동선의 위기 문제를 겪고 있다. 강자가 사적인 이해관계를 앞세워 다른 시민을 지배하고 공적 영역을 전유하려는 현상은 대표적인 병폐일 것이다. 본 논문은 신국론 의 아우구스티누스가 현대의 공동선 위기에 어떤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로마 전통의 공동선 개념을 비판하고 그리스도교 신학의 입장에서 새로운 공동선 개념을 제시했다고 알려져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와 키케로는 사람이 학문을 연마하고 시민적 덕성을 함양함으로써 훌륭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다거나 시민들이 공적 영역에 참여하여 덕성을 겨룸으로써 사회가 정의와 친애 속에 공동선을 발견하고 도시는 그 속에서 번영한다는 고대의 관념을 대표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고대의 후기에 로마의 공화 개념을 비판했다. 아담이 범죄한 후로 인간은 죄된 본성에 갇혀 있으며, 현실 정치의 타락과 부패는 거기에 원인이 있다고 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스키피오의 공화 개념을 근본적으로 비판했다. 하나님과 올바른 관계를 맺지 못한다면 사람은 참된 정의를 알 수 없으며, 따라서 정의에 대한 합치를 얻은 인민도 없으니 공동선을 위한 연합, 즉 공화도 없다고 했다. 현대에도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으로부터 그리스도교인과 비-그리스도교인이 섞여 살아가는 이 시대에 정치의 원리와 공동선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다만 이 문제에 관해서는 연구자마다 입장이 상이하고 또 오랫동안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어 있어 모든 논의를 소상하게 살펴보기 어렵다. 본 논문은 마커스의 ‘현세’(Saeculum)에 대한 논의와 이에 대한 밀뱅크의 비판을 중심으로 현대라는 시대를 진단하고 공동선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현대에 아우구스티누스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아렌트의 논의를 통해 우리가 어떻게 현세라는 문제 지점에 도달하게 되는지 설명하고, 뢰슬의 해석을 단서로 삼아 공동선 문제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다. 마커스와 밀뱅크의 논의를 소개한 다음, 현대 사회에서 공동선을 위한 실천의 예에 대한 엘슈테인의 논의를 소개했다. 결론으로 세속에서 법과 정의의 문제를 다루는 법률가로서 질서유지나 외적 평화에 그치고 마는 형식적 공동선에 머물지 않고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 해석에서 진리와 자유를 통해 공동선을 강화할 길을 찾을 수 있음을 주장했다. Modern societies suffer from the crisis of the common good. It is a common phenomenon that the strong try to dominate the public sphere for personal interests. This article aims to find St. Augustine’s answer to this crisis in The City of God. St. Augustine criticized the common good concept of the Greek-Roman tradition and suggested a new understanding based on Christian theology. Aristotle and Cicero argued that man can grow into a good citizen by cultivating civic virtues. They represent the ancient notion that polis achieves the common good through justice and friendship. They expected that if all citizens participate in the public sphere and compete with each other for virtues, cities would surely prosper. However, for Augustine, it is simply impossible because, after Adam’s crime, all humans are corrupted by the original sin, which is the cause of all corruption in real politics. Augustine fundamentally criticized the roman politician Scipio's definition of the republic. If man does not know how to make the right relationship with God, he cannot know true justice, and then there would be no people who got consensus with true justice, nor association for the common good, no republic. In this age wh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live together, many scholars have been researching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mmon good in Augustine’s thoughts. It is impossible to survey all discussions in detail because each scholar has a very different position on this topic. This article begins an approach to the concept of the common good in Augustine’s thought by examining J. Lössl’s interpretation as a clue. Then it explains how we came to the point of Saeculum through H. Arendt’s discussion, which aroused interest in Augustine in modern times. Then, it introduces R.A. Markus’ Saeculum and J. Milbank’s criticism of it, and J.B. Elshtain’s discussion on the examples of practices for the common good.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as a lawyer dealing with issues of law and justice in this world, it is possible to find a way to strengthen the common good through truth and freedom in Augustine’s The City of God.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8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