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사과 다축형의 유목기 생장과 생산성

‘후지’/M9 2축 묘목을 재식거리 3.0 × 1.2m로 심고 2축형으로, 2.8 × 1.6m로 심고 4축형으로, 2.8 × 2.4m로 심고 6축형으로키우고, 측지묘목을 재식거리 3.0 × 1.0m로 심고 키큰세장방추형으로 키워 생장과 생산성 및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1축의키큰세장방추형에 비해 다축형에서 주당 축 수가 늘어날수록 수고가 낮아지고 축의 단면적이 뚜렷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당 신초생장량은 재식 1–2년차에는 1축의 키큰세장방추형과 2축형이 많았고 3–4년차에는 4축과 6축형의 주당 신초생장이 빠르게 증가하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Weon'ye gwahag gi'sulji pp. 104 - 116
Main Authors Park In-Hee, Han Su-Gon, 김충실, Jeong Yeong-Ju, Jeon Jong-Hoon, 윤태명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원예학회 01.0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후지’/M9 2축 묘목을 재식거리 3.0 × 1.2m로 심고 2축형으로, 2.8 × 1.6m로 심고 4축형으로, 2.8 × 2.4m로 심고 6축형으로키우고, 측지묘목을 재식거리 3.0 × 1.0m로 심고 키큰세장방추형으로 키워 생장과 생산성 및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1축의키큰세장방추형에 비해 다축형에서 주당 축 수가 늘어날수록 수고가 낮아지고 축의 단면적이 뚜렷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당 신초생장량은 재식 1–2년차에는 1축의 키큰세장방추형과 2축형이 많았고 3–4년차에는 4축과 6축형의 주당 신초생장이 빠르게 증가하였다. 다만, 6축형의 경우 생장이 느려지면서 수관구성이 4축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 재식 4년차의 수광률은 키큰세장방추형과 2축형, 4축형이 35.7–36.3%로 서로 비슷하였으나 6축형은 24.4%에 불과하였다. 재식 4년차까지의주당 누적수량은 수관 형성이 느린 6축형을 제외하면 축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여 2축형이 32.1kg으로 키큰세장방추형의27.6kg 보다 16%, 4축형은 41.7kg으로 키큰세장방추형보다 51% 많았다. 그러나 단위면적당 수량으로 환산했을 경우 키큰세장방추형은 91.7톤/ha, 2축형은 89.2톤/ha, 4축형은 93.1톤/ha이었으나 6축형은 40.8톤/ha에 불과하였다. 축 수에 따른 사과품질은 전체적으로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으나 재식 3년차부터 수관이 갖추어지고 있는 키큰세장방추형에서 다축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착색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Fuji’/M9 2-axis apple nursery trees were planted at 3.0 × 1.2 m for 2-leaders, at 2.8 × 1.6 m for 4-leaders and at 2.8 × 2.4 m for 6-leaders systems, and the growth, produ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se different leader system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tall slender spindle planted at 3.0 × 1.0 m. Compared to the tall slender spindle, as the number of leaders per tree increased, the tree height decreased and the leader cross-sectional area decreased markedly. Shoot growth per tree for the tall slender spindle and the 2-leaders were high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but in the third and fourth year, shoots growth of the 4-leaders and the 6-leaders increased rapidly. Nevertheless, for the 6-leaders, growth was slower than that of the 4-leaders, with the canopy volume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4-leaders. In the fourth year, light interception was 35.7–36.3% in the tall slender spindle, the 2-leaders, and the 4-leaders, but only 24.4% in the 6-leaders. The cumulative yield per tree up to the fourth year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leaders, except for the 6-leaders with slow canopy development. The cumulative yield per tree for the 2-leaders was 32.1 kg and that for the 4-leaders was 41.7 kg, 16% and 51% more than the outcome of 27.6 kg for the tall slender spindle, respectively. However, when converted into yield per ha, the tall slender spindle showed a value of 91.7 tons, the 2-leaders showed 89.2 tons, and the 4-leaders showed 93.1 tons, whereas that for the 6-leaders was only 40.8 tons. The quality of the fruit according to the number of leaders was not clear on average, but from the third year, the red coloration of the tall slender spindle tended to be somewhat lower than these outcomes from of the multi-leader systems, as the canopy of the tall slender spindle had developed significantly.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8763
2465-8588
DOI:10.7235/HORT.2024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