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VI Planning CT에서 비후성 심근증 환자의 Aortic Annulus 크기 평가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비후성 심근증 환자의 심장 주기에 따른 대동맥판륜의 형태학적 크기 변화를 측정하여 TAVI planning 3차원 영상처리 시 대동맥판륜의 크기 측정 오류와 합병증을 최소화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2021년 4월부터 2022년 6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심전도 동조화 기법 TAVI planning CT 검사를 진행한 환자 중 심실중격 두께가 정상인 환자를 대조군 41명(78.92 ± 12.6세, 남성 44%), 비후성 심근증 환자를 실험군 31명(74.92 ± 10.8세, 남성 61%)으로 설정하였다. 심장 주기의 10%...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25(2) pp. 15 - 24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CT영상기술학회
01.09.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671-521X 2671-5228 |
DOI | 10.31320/JKSCT.2023.25.2.15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비후성 심근증 환자의 심장 주기에 따른 대동맥판륜의 형태학적 크기 변화를 측정하여 TAVI planning 3차원 영상처리 시 대동맥판륜의 크기 측정 오류와 합병증을 최소화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2021년 4월부터 2022년 6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심전도 동조화 기법 TAVI planning CT 검사를 진행한 환자 중 심실중격 두께가 정상인 환자를 대조군 41명(78.92 ± 12.6세, 남성 44%), 비후성 심근증 환자를 실험군 31명(74.92 ± 10.8세, 남성 61%)으로 설정하였다. 심장 주기의 10% 간격으로 영상 재구성하여 대동맥판륜의 면적, 둘레, 유효 직경, 면적 기반 직경, 둘레 기반 직경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심장 주기 동안 대동맥판륜의 면적, 둘레, 유효 직경, 면적 기반 직경, 둘레 기반 직경의 상대적인 변화는 각각 27.3%, 10.4%, 11.9% 12.6% 11.1%로 유의한 크기 변화를 나타냈다.(P<0.001) 대조군은 전체 심장 주기 중 수축기에서 대동맥판륜 각 측정 인자의 최대값이 나타났으며, 실험군은 전체 심장 주기에서 측정 인자의 최대값이 불규칙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그룹 간 심장 주기 동안 대동맥판륜 측정 인자의 최대값 빈도 분포 분석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TAVI 3차원 영상처리에 있어 비후성 심근증 환자의 경우 전체 심장 주기를 확인하여 대동맥판륜 크기가 가장 큰 심장 주기에서 측정하는 것이 정확한 크기의 인공판막 선택과 추후 합병증을 최소화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inimize the undersizing of aortic annulus size and reduce complications by analysis the size change of aortic annulus during the cardiac cycle in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Patients were prospectively underwent an ECG-gated TAVI Planning CT.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41 normal group (78.92 ± 12.6 years; 44% males) and 31 hypertrophic cardiomyopathy group (74.92 ± 10.8 years; 61% males). The annulus plane was identified on reconstructions at 10% intervals of the cardiac cycle. Based on semi-automatically defined Aortic annulus, area, perimeter, effective diameter, area-derived diameter, perimeter-derived diameter were measured. The area, perimeter, effective diameter, area-derived diameter and perimeterderived diameter were significantly changes during the cardiac cycle with a relative change of 27.3%, 10.4%, 11.9%, 12.6% and 11.1% respectively. (all p < 0.001) During the cardiac cycles of groups normal and Hypertrophic myopathy, aortic annulus showed different dynamic changes. Differ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ximum values distribution plot. (p < 0.05) In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reconstructing the entire cardiac cycle and selecting the largest annulus to TAVI planning is consider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accurate selection of the size of prosthesis in the procedure and minimizing TAVI complication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671-521X 2671-5228 |
DOI: | 10.31320/JKSCT.2023.25.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