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책과 혁신 제품간 연관성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정책의 우수 제품에 대한 기여효과를 중심으로
개발도상국에서 출발한 우리나라에서 기술혁신의 성과물로서 장영실상으로 대표되는 혁신 제품은 정책적 노력과 결코 분리되어 설명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정책 발전과 혁신 제품간 연관성을 분석하여 경제사회 발전의 기여 효과를 분석하고, 장영실상과 같은 민간부문 혁신 수상의 정책적 의미를 재조명하는 통시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책이 학습을 통해 민간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고 역량을 증가시키는 Teubal(1998)의 TIP프레임을 기반으로 과학기술정책의 변화가 민간의 혁신을 이끌고, 더 나아가 민간 혁신의...
Saved in:
Published in | 기술경영, 8(4) pp. 67 - 92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01.12.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3772 2635-7623 |
Cover
Summary: | 개발도상국에서 출발한 우리나라에서 기술혁신의 성과물로서 장영실상으로 대표되는 혁신 제품은 정책적 노력과 결코 분리되어 설명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정책 발전과 혁신 제품간 연관성을 분석하여 경제사회 발전의 기여 효과를 분석하고, 장영실상과 같은 민간부문 혁신 수상의 정책적 의미를 재조명하는 통시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책이 학습을 통해 민간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고 역량을 증가시키는 Teubal(1998)의 TIP프레임을 기반으로 과학기술정책의 변화가 민간의 혁신을 이끌고, 더 나아가 민간 혁신의 고도화로 이어지는 과정을 장영실상 수상제품의 고도화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틀은 3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1단계는 시대별 과학기술정책발전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정책과 성장동력 육성분야를 분석한다. 2단계는 각 산업의 정책 성장동력분야와 장영실상 수상제품간의 매칭을 통해 연관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50개의 우수제품을 선정한다. 3단계는 우수제품 50개를 대상으로 정책 기여효과 및 산업적 기여효과를 도출한다. 본 연구의 결과, 과학기술정책과 정책의 성장동력에 따라 장영실상 수상제품이 병행 발전함을 확인했다. 성장동력분야와 50개의 우수 수상제품의 관계성을 분석해 볼 때 정책과 수상제품 간 연관성이 확인되었고, 정책 발표와 이를 제품으로 구현하기 위한 소요시간이 크게 감소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세계일류제품과 매칭할 때 장영실상 수상제품이 글로벌화되고, 그에 따라 기술시장이 확대되었다. 이러한 정책과 장영실상 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정책지원과 민간부문의 학습 및 혁신을 통해 장영실상 우수 제품 수상으로 연계되는 기업 및 제품 성장의 종합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 which started from developing countries, excellent products can never be explained separately from policy effort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and the award-winning products of IR52 Jang Young-shil Award, analyzing the contributing effects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nd conducted a diachronic study to re-examine the meaning of IR52 Jang Young-shil Award. Based on Teubal's (1998) TIP frame, in which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promote private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ncrease capabilities through learning,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rocess of changes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leading to private innovation and further advancement of private innovation through the advancement of IR52 Jang Young-shil Award-winning products. The analytical framework i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by period. It analyzes the fields of policy and growth engine development. The second step is to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growth engine field of each industry and IR52 Jang Young-shil Award-winning products, and to select 50 excellent products based on this. Step 3 derives policy contribution effects and industrial contribution effects for 50 excellent produc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R52 Jang Young-shil Award-winning products developed in parallel according to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and the growth engine of policies.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engine field and the 50 excellent award-winning products,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and award-winning products was confirmed, and the speed of policy announcement and product realiz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n addition, when matching with world-class products, IR52 Jang Young-shil Award-winning products became global, and the technology market expanded accordingly. Through these policies and IR52 Jang Young-shil Award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comprehensive effect of corporate and product growth linked to winning excellent products in IR52 Jang Young-shil Award through policy support and private sector learning and innovation.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ntri.net |
ISSN: | 2384-3772 2635-7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