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군무원 보수교육과정의 개선방안 연구
육군 군무원 보수교육은 기본교육을 마치고 실무를 경험한 군무원들을 대상으로 계급과 직책에 상응하는 임무수행능력을 부여하고 전문지식과 차상급 직위의 직무수행능력을 구비케하는 교육이다. 이는 전문인력 배양을 위한 매우 중요한 교육이나 교육기간의 단기 편성, 소수 직렬의 독립적 교육과정 미개설, 교육 적체인원의 증가 등 일부 문제점들이 제기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헌연구, 설문조사, 현장실사 및 전문가 인터뷰를 수행하여 도출한 육군 군무원 보수교육 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도출...
Saved in:
Published in | Seonjin gukbang yeongu (Online) pp. 1 - 2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방위사업연구소
01.12.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635-5531 2636-1329 |
DOI | 10.37944/jams.v6i3.201 |
Cover
Summary: | 육군 군무원 보수교육은 기본교육을 마치고 실무를 경험한 군무원들을 대상으로 계급과 직책에 상응하는 임무수행능력을 부여하고 전문지식과 차상급 직위의 직무수행능력을 구비케하는 교육이다. 이는 전문인력 배양을 위한 매우 중요한 교육이나 교육기간의 단기 편성, 소수 직렬의 독립적 교육과정 미개설, 교육 적체인원의 증가 등 일부 문제점들이 제기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헌연구, 설문조사, 현장실사 및 전문가 인터뷰를 수행하여 도출한 육군 군무원 보수교육 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도출된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미개설된 교육과정은 병과학교의 역량을 고려하여 신설하거나 대외기관 위탁교육을 시행하며, 둘째, 교육기간은 현행 기간을 단축 편성하거나 원격교육을 강화하여 소집교육을 감편한다. 셋째, 교과편성은 과목별 교육효과, 중요도와 이해도를 주기적으로 산출하여 차기 교육과정에 반영 여부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원격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참여형 쌍방향 방식으로 전환과 인터넷 기반 원격교육으로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 이와 연관된 향후연구로는 육·해·공군·국방부 직할 군무원 교육훈련제도의 대한 비교 연구와 미국 군무원 교육체계에 대한 비교 연구, 직렬별 기본·초·중·고급 보수교육과정과 중견관리자과정 등에 대한 세부 분석연구, 군 교육환경을 고려한 교육평가 모형의 개발연구가 필요하다.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military personnel aims to provide mission execution abilities that correspond to their rank and position, as well as equip them with specialized knowledge and job performance abilities at an advanced level. This is a critical educational process for cultivating professional personnel. However, there are areas that require improvement.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on-site inspections, expert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s to identify problems in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military personnel and propose solutions to address them. The issues identified and the corresponding solution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programs that have not been developed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capabilities of military schools, or external education agencies should be commissioned to provide proper education. Second, the educational period problem can be addressed by shortening the current period or strengthening remote education to reduce in-person education sessions. Third, th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by periodically calculating the educational effects, importance, and understanding of each subject, and the decision to include one subject in the next education program should be made based on this analysis. Finally, remote education should be converted into a participatory, two-way learning approach that emphasizes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expanded through Internet-based remote education. In addition to these proposed solutio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mpare the continuing education systems for military personnel in the army, navy, air force, and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s well as to compare military personnel education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Further research is also needed to conduct detailed analytical studies on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each military personnel rank, considering the military education environment, and develop an education evaluation model.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journal.idap.re.kr/index.php/JAMS/article/view/201 |
ISSN: | 2635-5531 2636-1329 |
DOI: | 10.37944/jams.v6i3.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