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사문학관 소장 책력 소재 시문의 작자와 필사자 규명

본고의 목적은 한국가사문학관 소장 책력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이면에 필사된 가사, 한시문 등의 작자와 창작 시기, 필사자와 필사 시기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연구 대상은 1781년, 1780년, 1778년, 1776년 책력이 합철되어 이면이 활용된 문헌이다. 이 문헌의 이면에 필사된 글씨의 독음이 난해하여 서명은 문헌에 필사된 <낙빈가>라는 가사 작품의 제목을 따랐다. 그러나 2장에서 서지를 분석하고 3장에서 시문의 작자와 필사자를 규명한 결과, 서명은 ‘나주 나씨 잡록’으로 새롭게 명명될 필요가 제기되었다. 연구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서지학연구, 0(96) pp. 189 - 204
Main Author 신현웅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서지학회 0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246
2671-8758
DOI10.17258/jib.2023..96.18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고의 목적은 한국가사문학관 소장 책력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이면에 필사된 가사, 한시문 등의 작자와 창작 시기, 필사자와 필사 시기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연구 대상은 1781년, 1780년, 1778년, 1776년 책력이 합철되어 이면이 활용된 문헌이다. 이 문헌의 이면에 필사된 글씨의 독음이 난해하여 서명은 문헌에 필사된 <낙빈가>라는 가사 작품의 제목을 따랐다. 그러나 2장에서 서지를 분석하고 3장에서 시문의 작자와 필사자를 규명한 결과, 서명은 ‘나주 나씨 잡록’으로 새롭게 명명될 필요가 제기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면의 필사 시기는 1779년에서 1782년 중반 사이다. 둘째, 필사자는 전라남도 나주시 곡강면의 향촌사족 사대부 나현(羅玹, 1758~1819)일 가능성이 높다. 셋째, <낙빈가>와 <탄빈가>는 나현의 부친 나학해(羅學海, 1706~1776)가 1775년에서 1776년 사이에 창작한 가사 작품이다. 넷째, <곡만가라>는 나학해의 동생이 1780년 전후에 조카며느리의 죽음을 애도하고자 창작한 가사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가사문학사의 한 표지가 될 만한, 작자, 지역, 창작 시기를 알 수 있는 가사 작품이 발굴되었다.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the almanac in the Korean Gasa Literature Museum. It is difficult to read the transcribed text on the back of this almanac. The book title followed the title of the Gasa work “Nakbinga”, which was transcribed in the book. This book is literature that combines the four almanacs, published in 1781, 1780, 1778, and 1776, and utilizes the backside. In Chapter 2, a study on the bibliography was conducted, and in Chapter 3, the writer of literary works, the time of writing, the transcription, and the period of transcription were identified. As a result, the signature was newly named ‘Naju Na’s Japrok’.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four below. First, the transcription period on the back was from 1779 to mid-1782. Secon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transcription was Na Hyeon(羅玹, 1758~1819), the noble class of the Hyangchonsa tribe in Gokgang-myeon, Naju, Jeollanam-do. Third, the writer of the Gasa “Nakbinga” and “Tanbinga” is Na Hakhae (羅學海, 1706~1776), Na Hyeon’s father. Na Hakhae wrote two works between 1775 and 1776. Fourth, Gasa “Gokmangara” is presumed to have been written around 1780 by Na Hakhae’s younger brother. As a result, gasa works that show the writer, region, and period of writing that can serve as marks for the history of gasa literature were discovered.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doi.org/10.17258/jib.2023..96.189
ISSN:1225-5246
2671-8758
DOI:10.17258/jib.2023..96.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