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의 판본 계통과 판식 연구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은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폭넓게 간행된 대표 불경 중 하나다. 추정 판본까지 포함하면 총 31종이 확인되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장정 형태로 간행되었다. 불경은 몇몇 계통으로 유통되었고 장정의 변화에 따라 특징적인 판식이 확인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장수경」을 조사하여 판본의 계통을 분류하고 판식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첫째, 「장수경」의 판본 계통은 크게 15자, 16자, 17자, 기타 계통으로 나눌 수 있었다. 계통 중에는 번각으로 계통이 그대로 이어지는 본이 확인되며, 자수는 같으나 본문의...
Saved in:
Published in | 서지학연구, 0(96) pp. 71 - 94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서지학회
01.12.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5246 2671-8758 |
DOI | 10.17258/jib.2023..96.71 |
Cover
Summary: |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은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까지 폭넓게 간행된 대표 불경 중 하나다. 추정 판본까지 포함하면 총 31종이 확인되며 시대에 따라 다양한 장정 형태로 간행되었다. 불경은 몇몇 계통으로 유통되었고 장정의 변화에 따라 특징적인 판식이 확인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장수경」을 조사하여 판본의 계통을 분류하고 판식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첫째, 「장수경」의 판본 계통은 크게 15자, 16자, 17자, 기타 계통으로 나눌 수 있었다. 계통 중에는 번각으로 계통이 그대로 이어지는 본이 확인되며, 자수는 같으나 본문의 배치, 이체자, 다른 한자 사용 등 판본 간 차이가 보이는 중간본 형태도 확인된다.
둘째, 「장수경」은 고려부터 조선 후기까지 폭넓은 기간 권자본, 절첩본, 선장본 등 다양한 장정 형태로 간행되어, 우리나라 고서 장정의 형태 변화와 관련한 판식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권자본, 절첩본의 판식이 선장본에 그대로 남아 있다가 점차 선장본에 적합하게 변화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확인되는 특징적 판식은 광곽, 행 배열, 판제 및 장차, 변상도의 변화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었다. The Bulseol-jangsu-myeoljoe-hojedongja-darani-Sutra (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 which is the darani on longevity and protection of young children sutr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Buddhist scriptures that were widely published from the Goryeo period to the Joseon period. Including estimated editions, a total of 31 types have been identified. It had been published in various bookbinding forms depending on the era. The scriptures were distributed through several lineages, and characteristic bibliographic features were identified based on changes in bookbinding.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xisting Bulseol-jangsu-myeoljoe-hojedongja-darani-Sutra to classify the editions into lineages and identify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Firstly, the editions of Bulseol-jangsu-myeoljoe-hojedongja-darani-Sutra could be broadly classified into four groups. Within the group, certain editions display precisely identical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while others show variations in elements such as text arrangement, the utilization of variant Chinese characters in the content, and so on.
Secondly, Bulseol-jangsu-myeoljoe-hojedongja-darani-Sutra had been published in various bookbinding forms from the Goryeo period to the late Joseon period, allowing us to observe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Korean bookbinding. The identified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e differences in the outer square bordering the text (Gwanggwak, 匡郭), the arrangement of lines in the text, notation styles for titles and page numbers, as well as the arrangement of Buddhist sutra illustrations (Byeonsangdo, 變相圖).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doi.org/10.17258/jib.2023..96.71 |
ISSN: | 1225-5246 2671-8758 |
DOI: | 10.17258/jib.2023..96.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