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메디컬보드(CMB)와 한국 의학연구 지원체계의 변화: 대응자금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해방 후 한국 의학의 발전에 있어 원조는 막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특히 미네소타 프로젝트로 대표되는 미국의 한국 의학교육 원조는 한국에 미국식 의학교육을 정착시킨 주요한 계기로 언급된다. 하지만 교육, 임상과 함께 의과대학과 그 부속병원의 주요한 기능인 연구에 대한 분석은 제한적이었다. 이 논문은 차이나메디컬보드(China Medical Board)의 사례를 중심으로 1970년대 한국 의학연구 지원체계가 정착하는 과정을 살핀다. 이를 통해 원조 기관이 대응자금이라는 제도를 통해 어떻게 책임과 권한을 한국에 이관하였는지, 또한 이러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의료사회사연구, 12(0) pp. 111 - 133
Main Author 정준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의료역사연구회 01.10.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635-585X
2635-6333
DOI10.32365/KASHM.2023.12.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해방 후 한국 의학의 발전에 있어 원조는 막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특히 미네소타 프로젝트로 대표되는 미국의 한국 의학교육 원조는 한국에 미국식 의학교육을 정착시킨 주요한 계기로 언급된다. 하지만 교육, 임상과 함께 의과대학과 그 부속병원의 주요한 기능인 연구에 대한 분석은 제한적이었다. 이 논문은 차이나메디컬보드(China Medical Board)의 사례를 중심으로 1970년대 한국 의학연구 지원체계가 정착하는 과정을 살핀다. 이를 통해 원조 기관이 대응자금이라는 제도를 통해 어떻게 책임과 권한을 한국에 이관하였는지, 또한 이러한 출구전략이 한국 의학 연구비 조성 및 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더불어 이러한 정책적 전환의 배경으로서, 1970년대 미국의 원조 정책 변화를 지정학적 맥락과 함께 검토하여, 한국 의학연구 체계의 형성과정에 있어, 원조의 도입뿐 아니라 종료까지의 한 살이를 보이고자 했다. 차이나메디컬보드의 사례는 닉슨 독트린과 미국 대외 원조 정책의 변화라는 거시적인 지정학적 맥락에서, 민간 원조 기관이 어떻게 출구전략을 수립하고 수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한국의 의학 연구비지원체계, 더불어 기금 확보를 위한 자체적인 노력들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보여준다. 원조에서 탈원조로 이어지는 단선적인 서술이 아닌, 외원 주도의 의사결정에서 한국 행위자들의 자체적인 경험이 축적되고 발현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Foreign aid has had critical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medicine since liberation in 1945. In particular, U.S. aid to Korean medical education, represented by the Minnesota Project, is often marked as a major turning point from Japanese-style to American-style medical education in Korea. However, there has been limited analysis of research, which has been a key function of medical schools and their affiliated hospitals. This paper examine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medical research support in South Korea in the 1970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China Medical Board (CMB). It explores how donor agencies transferred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to Korean counterparts through policy called matching-fund, and how this exit strategy affected the funding and utilization of medical research in Korea. As a backdrop to this policy shift, this study also examine the geopolitical context of U.S. aid policy shifts in the 1970s to show how aid was not only introduced but also exited in shaping the Korean medical research system. The case of the China Medical Board shows how a private aid organization formulated and implemented an exit strategy in the macro geopolitical context of the Nixon Doctrine and changes in U.S. foreign aid policy, and in the process shaped the Korean medical research funding system and its own efforts to secure funding. Rather than a binary narrative of aid versus post-aid, examining the accumulation and manifestation of Korean actors’ own experiences in foreign donor-driven decision-making provides an opportunity to look more critically at the process of shaping the contemporary Korean medical research funding system. KCI Citation Count: 1
ISSN:2635-585X
2635-6333
DOI:10.32365/KASHM.2023.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