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乘法相硏神章」 定本化를 위한 텍스트 修訂의 意義
護命의 「大乘法相硏神章」은 일본 초기의 法相宗 사상을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문헌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硏神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없었다. 필자는 이러한 점에 着眼하여 박사논문으로 「硏神章」의 硏究와 譯註를 하였다. 그러나 「연신장」 역주를 위해 善本의 텍스트를 준비하면서 두 가지 선결 문제가 있었다. 첫째 텍스트 교감과, 둘째 인용문의 오류를 바로 잡는 것이었다. 본고에서는 두 번째 선결 문제인 문헌 인용의 오류에 관한 문제를 다루었다. 인용문헌의 오류를 바로 잡기 위해 먼저 문헌의 인용 현황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다음...
Saved in:
Published in | 서지학연구, 0(95) pp. 155 - 17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서지학회
01.09.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5246 2671-8758 |
DOI | 10.17258/jib.2023..95.155 |
Cover
Summary: | 護命의 「大乘法相硏神章」은 일본 초기의 法相宗 사상을 밝히는데 매우 중요한 문헌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硏神章」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없었다. 필자는 이러한 점에 着眼하여 박사논문으로 「硏神章」의 硏究와 譯註를 하였다. 그러나 「연신장」 역주를 위해 善本의 텍스트를 준비하면서 두 가지 선결 문제가 있었다. 첫째 텍스트 교감과, 둘째 인용문의 오류를 바로 잡는 것이었다. 본고에서는 두 번째 선결 문제인 문헌 인용의 오류에 관한 문제를 다루었다. 인용문헌의 오류를 바로 잡기 위해 먼저 문헌의 인용 현황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다음으로 문헌의 인용방식을 살펴본 후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사례를 직접 제시하고 인용 원문과의 대조를 통해 오류를 수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한편으로는 「연신장」을 찬술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진 과실로 인해 護命의 뜻이 잘못 이해되고 歪曲되어지는 것을 막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신장」에서 진술하고자 하는 의도나 그 내용과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이다. 이는 護命의 견해와 사상이 좀 더 명확히 전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Although Gomyō’s Daijō-hossō-kenjin-shō is a very important literature for revealing the early Hossō school ideas of Japan, So far, there has been no overall research of the kenjin-shō. In view of these points, I did “Study and Translation of Daijō-hossō-kenjin-shō by Gomyō” as a doctoral thesis. However, There were two problems to be solved first while preparing the “good version” text for the Translation and comment of kenjin-shō. First, it was correcting the text and second, correcting the errors in the quotation. In this paper, I was dealt with the second problem, the problem of errors that occurred in the citation process of the literature. In order to correct errors in the cited literature, first I briefly introduced the citation status of the literature, then I examined the citation method of the literature, and finally I directly presented specific instances of errors that have occurred and corrections were made by contrasting them with the quoted original text. This process, On the one hand, it is th prevent the meaning of Gomyō from being misunderstood and distorted because of a error occurred in the process of writng kenjin-shō , and on the other hand, it is to clarify the intention wish to state, and its content and meaning of Gomyō in kenjin-shō. This is very important and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allows the views and thoughts of the Gomyō to be more clearly communicated.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doi.org/10.17258/jib.2023..95.155 |
ISSN: | 1225-5246 2671-8758 |
DOI: | 10.17258/jib.2023..95.1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