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類義評例」에 나타난 「大學衍義補」의 ‘馭夷狄’과 ‘成功化’의 교감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문헌 및 실물조사를 활용하여 「유의평례」에 나타난 「대학연의보」의 ‘馭夷狄’과 ‘成功化’의 교감 항목에 대해 결정 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고, 그 항목들에 대해 「대학연의보」 및 「어정대학연의」 기록과의 비교를 통해 교감의 세부 내용 및 결과를 종합하였다. 어이적 14권(권143〜권156)의 교감은 「유의평례」 2 권21첨 13항목이다. 내하외이지한 상 2건, 신덕회원지도 1건, 정토완화지의 상 1건, 정토완화지의 하 3건, 수양제어지책 상 1건, 수변고어지략 상 1건, 수변고어지략 하 1건, 열둔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서지학연구, 0(95) pp. 5 - 32
Main Author 강순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서지학회 01.09.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246
2671-8758
DOI10.17258/jib.2023..95.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문헌 및 실물조사를 활용하여 「유의평례」에 나타난 「대학연의보」의 ‘馭夷狄’과 ‘成功化’의 교감 항목에 대해 결정 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고, 그 항목들에 대해 「대학연의보」 및 「어정대학연의」 기록과의 비교를 통해 교감의 세부 내용 및 결과를 종합하였다. 어이적 14권(권143〜권156)의 교감은 「유의평례」 2 권21첨 13항목이다. 내하외이지한 상 2건, 신덕회원지도 1건, 정토완화지의 상 1건, 정토완화지의 하 3건, 수양제어지책 상 1건, 수변고어지략 상 1건, 수변고어지략 하 1건, 열둔견수지제 2건, 겁유궁독지실 1건이다. 첫째, 본문, 주석 및 구준의 안설이 조정되어 수록된 경우는 6건이다. ‘唐文宗太和五年’은 본문이 수록되었고, 주석 및 구준의 안설이 삭제되었다. ‘秦始皇三十三年’, ‘五代晉高祖’, ‘漢更有三品’, ‘高祖十一年’은 본문 및 구준의 안설은 발췌되었고, 주석은 삭제되었다. ‘以上劫誘窮黷之失’은 내용 전반에서 ‘陸贄言于德宗曰’과 구준의 안설이 선별․발췌되어 실렸다. 둘째, 본문의 관련 항목들을 선별하여 연결하고 주석과 구준의 안설이 선별되어 수록된 경우는 3건이다. ‘僖公二十二年初 平王之東遷’은 본문이 실렸고, 여조겸의 주석과 구준의 안설은 삭제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추가로 교감이 이루어져 「논어」 ‘微管仲’의 “論語曰 管仲相桓公 霸諸侯 一匡天下 民到於今受其賜 微管仲 吾其被發左衽矣”의 내용과 김이상(金履祥) 주석이 실렸다. 각 본문의 주석 및 구준의 안설은 삭제되었다. 「맹자」 ‘戎狄是膺’의 경우, 본문, 주석 및 안설은 모두 삭제되었다. ‘詩序采芑’는 ‘詩序六月’의 수장(首長)과 채기편의 ‘詩序采芑’에서 ‘詩序采芑 宣王南征也’의 문장 및 졸장(卒章)이 실렸고, 구준의 안설은 발췌되었다. ‘左傳魏絳曰和戎’은 ‘左傳 襄公四年’의 본문과 ‘襄公十一年’의 본문이 발췌되어 연결되었고, 구준의 안설이 수록되었다. 셋째, 본문과 주석 및 구준의 안설이 모두 삭제된 경우는 ‘治國平天下之要十一’, ‘中庸曰凡爲天下國家’, ‘賈誼疏曰匈奴’ 및 ‘建平中揚雄上書’의 4건이다. 성공화 4권(권157〜권160) 교감은 「유의평례」 2 권22첨 4항목이다. 성신공화지극 상지상 2건, 성신공화지극 하 2건이다. 첫째, 본문, 주석 및 구준의 안설이 조정되어 수록된 경우는 3건이다. ‘易乾元亨利貞’과 ‘張載曰爲天地立心’은 본문이 실렸고, 주석은 삭제되었으며, 구준의 안설은 발췌되었다. ‘中庸致中和’는 본문과 구준의 안설이 수록되었고, 주석은 삭제되었다. 둘째, 본문과 실제 다른 항목을 교감하고 주석과 구준의 안설이 선별되어 수록된 경우는 1건이다. ‘賁之彖曰 觀乎天文’의 경우, 실제 교감의 내용은 다음에 나오는 ‘恒之彖曰’인데 본문과 정자의 주석이 발췌되었고, 구준의 안설은 수록되었다. This study analyzes how the decision process was made on the correction items of ‘Eoijeog’ and ‘Seonggonghwa’ in the Daehagyeonuibo that appeared in Yuuipyeongrye using literature and actual research. Regarding the items, the details and results of the correction were synthesiz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records of the Daehagyeonuibo and the Eojeongdaehagyuui.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correction are as follows: The correction items of ‘Eoijeog’ vol. 14 (vol. 143-vol. 156) is Yuuipyeongrye, vol. 2, 21 cheom 13 items. there are 2 cases of Naeoesangijihan sang, 1 case of Sindeoghoewonjido, 1 case of Jeongtowanhwajiui sang and 3 cases of Jeongtowanhwajiui ha, 1 case of Suyangjeeojichaeg sang, 1 case of Subyeongoeojilyag sang and 1 case of Subyeongoeojilyag ha, 2 cases of Yeoldungyeonsujije, and 1 case of Geobyugungdogjisil. First, there are 6 cases in which the text, annotations, and Gu, Jun’s commentary were adjusted and recorded. The text of ‘唐文宗太和五年’ was included, and the annotation and Gu, Jun’s commentary were deleted. The text and Gu, Jun’s commentary were excerpted, and the annotations were deleted from ‘秦始皇三十三年’, ‘五代晉高祖’, ‘漢更有三品’, and ‘高祖十一年’. In the overall contents of ‘以上劫誘窮黷之失’, ‘陸贄言于德宗曰’ and Gu, Jun’s commentary were selected and excerpted. Second, there are 3 cases in which related items in the text were selected and linked, and annotations and Gu, Jun’s commentary were selected and included. The text of ‘僖公二十二年初平王之東遷’ was included, and Yeo, Jo Gyeom’s annotation and Gu Jun’s commentary were deleted. In this regard, additional corrections were made, and the content of “論語曰 管仲相桓公 霸諸侯 一匡天下 民到於今受其賜 微管仲 吾其被發左衽矣” of ‘微管仲’ of Noneo and Kim, I Sang Sang’s annotation were included. The annotations of each text and Gu, Jun’s commentary were deleted. In the case of ‘戎狄是膺’ of Maengja, the main text, annotation and Gu, Jun’s commentary were all deleted. In ‘詩序采芑’, the first sentence of ‘詩序六月’, the sentences of ‘詩序采芑 宣王南征也’ and the last line of ‘詩序采芑’ in Caegipyeon were included, and Gu, Jun’s commentary was excerpted. In ‘左傳魏絳曰和戎’, the text of ‘左傳 襄公四年’ and ‘襄公十一年’ were excerpted and connected, and Gu, Jun’s commentary was included. Third, the main text, annotations, and Gu, Jun’s commentary were all deleted in four cases: ‘治國平天下之要十一’, ‘中庸曰凡爲天下國家’, ‘賈誼疏曰匈奴’ and ‘建平中揚雄上書’. The correction items of ‘Seonggonghwa’ vol. 4 (vol. 157-vol. 160) is Yuuipyeongrye, vol. 2, 22 cheom 4 items. here are 2 cases of Seongsingonghwajigeug sangjisang, and 2 cases of Seongsingonghwajigeug ha. First, there are 3 cases in which the text, annotations, and Gu, Jun’s commentary were adjusted and recorded. The texts of ‘易乾元亨利貞’ and ‘張載曰爲天地立心’ were included, the annotation were deleted, and Gu, Jun’s commentary were excerpted. The text of ‘中庸致中和’ and Gu, Jun’s commentary were included, and the annotation was deleted. Second, there is 1 case in which related items in the text were selected and linked, and annotations and Gu, Jun’s commentary were selected and included. In the case of ‘賁之彖曰 觀乎天文’, the content of the actual correction is ‘恒之彖曰’, which follows, and the text and Jeongja’s annotation were extracted, and Gu, Jun’s commentary was included.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doi.org/10.17258/jib.2023..95.5
ISSN:1225-5246
2671-8758
DOI:10.17258/jib.2023..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