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일중 신체 관용어 표현 양상 연구

이 연구는 다양한 요인으로 증가하고 있는 국내 외국인 한국어 학습 자와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학문 목적 학습자에 주목하고, 이들이고급 한국어로 의사소통하는 데 있어 요구되는 관용어 표현의 교수와 학습에 도움을 주 고자 하였다. 특히 학문 목적 유학생의 경우 고급 한국어 구사 능력이 반드시 요구되며 국내 학문 목적 유학생 수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중국과 일본의 언어를 한국어와 비교하 여 살펴보았다. 한·일·중 3개국의 신체 관용어를 예문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국가별 관 용어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일본인과 중국인 학습자가 한 교실에서 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문학연구, 0(52) pp. 123 - 162
Main Author 고범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인문학연구원 01.08.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다양한 요인으로 증가하고 있는 국내 외국인 한국어 학습 자와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학문 목적 학습자에 주목하고, 이들이고급 한국어로 의사소통하는 데 있어 요구되는 관용어 표현의 교수와 학습에 도움을 주 고자 하였다. 특히 학문 목적 유학생의 경우 고급 한국어 구사 능력이 반드시 요구되며 국내 학문 목적 유학생 수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중국과 일본의 언어를 한국어와 비교하 여 살펴보았다. 한·일·중 3개국의 신체 관용어를 예문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국가별 관 용어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일본인과 중국인 학습자가 한 교실에서 수업하는 상황에서의 개선점과 모국어 간섭이 한국어 학습에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와 일본어, 중국어의 관용어를 총 5개의 범주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 범 주에서 각 국가별로 어떠한 관용어 형태와 관용어 의미를 가지고 활용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가별 다양한 형태와 의미의 차이로 인해 2개 국가는 가능하나 3개 국가의 관용어는 범주화가 불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이들의 관용어 학습 이해도 향상 과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언어권별 분반을 통한 교육이 바람직함도 알 수 있었다. 5개의 범주로 세분화하여 살펴본 것과 3개 국가의 언어를 비교한 것은 차별성과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이는 다국적 학습자가 함께 학습하는 국내 교실 상황에서 관용어 이해 교육 방안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foreign students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in Korea together with academic-purpose learners at the university-level, and attempt to help both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idioms required to communicate in Korean at an advanced level. The fluency of advanced-level Korean is required especially in international students learning the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s. Due to the considerable number of Chinese and Japanese students learning Korean, we have compared their language with the Korean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body idioms of the three countries through example sentences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idioms in each of the languages. It also aims to figure out if the Japanese and Chinese students’ learning process is interfered by their native language and seek improvements in situations whereby students from both countries are put in the same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purpose and aim of this study, idioms of each language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These categories were studied to examine the forms and meanings of idioms used by each of the languag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in one instance, only the categorization of idioms between two languages was possible and not all three, due to the differences in various forms and meanings of each of the languages. Through this, in order to improve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learning of idioms and to minimize confusion, it was found that education through dividing by language was desirable.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with two factors; it is carried out in five categories instead of four, and the comparison of three languages instead of two. It is believed that this can be used to establish 본 논문은 2022년 06월 27일 투고 완료되어, 2022년 07월 30일 심사 완료하고, 2022년 08월 06일 게재 확정하였음. 162 『인문학연구』 제52호an education plan for understanding idioms in domestic classroom situations whereby multinational students can learn simultaneously.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dx.doi.org/10.35559/TJOH.52.4
ISSN:1229-5485
2671-8847
DOI:10.35559/TJOH.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