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학교 소비자교육 내용체계안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소비자교육의 활성화 및 체계화라는 정책적 요구에 부응하여 초·중·고 학교교육에서 소비자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내용체계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학교 소비자교육과 관련된 소비 환경 및 교육 환경의 변화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소비자교육의 현황을 교육과정의범교과 학습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학교 소비자교육 내용체계 관련 연구 동향을 검토하여, 학교 소비자교육의 내용체계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후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두 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고 내용타당도와 합의도를...
Saved in:
Published in | 교육과정평가연구, 25(3) pp. 75 - 103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08.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1544 2671-728X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소비자교육의 활성화 및 체계화라는 정책적 요구에 부응하여 초·중·고 학교교육에서 소비자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내용체계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학교 소비자교육과 관련된 소비 환경 및 교육 환경의 변화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소비자교육의 현황을 교육과정의범교과 학습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학교 소비자교육 내용체계 관련 연구 동향을 검토하여, 학교 소비자교육의 내용체계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후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두 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고 내용타당도와 합의도를 중심으로 결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소비자교육의 목표와 내용체계안을 도출하였다. 학교교육 목표에 부합하면서도 소비자교육의 정체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소비자교육의 전체 목표를 마련하였으며, 이러한 전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통합성과 계열성을 고려하여 학교급별 목표를 구체화하였다. 학교 소비자교육의 내용체계안은 연계성과 위계성을 염두에 두면서 4개의 대영역으로 도출하였으며, ‘Ⅰ. 시장환경의 변화와 소비문화’, ‘Ⅱ. 합리적 구매의사결정과 재무 관리’, ‘Ⅲ. 소비자 문제의 유형과 해결’, ‘Ⅳ.
소비자 권리와 소비자시민성’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교과 교육, 창의적 체험활동 및 범교과 학습, 자유학기제(자유학년제) 및 진로 교육, 학교 외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소비자역량 측정 도구 개발이라는 다섯 가지 측면에서 학교 소비자교육 내용체계안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pare a content framework to implement consumer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policy demands of revit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school consumer education. To this end, first, we examined changes in the consumption environment and education environment related to school consumer education,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consumer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the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s of the curriculum. Additionally, we examined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content framework of school consumer education, and derived implications for preparing the content framework for school consumer education. Afterwards, we conducted Delphi surveys twice with 20 experts, and analyzed results focusing on content validity ratio and degree of agre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the goals and content framework of school consumer education were derived. The overall goal of consumer education was prepared so that the identity of consumer education could be revealed while meeting the goals of school education. The content framework for school consumer education was drawn into four major areas with connectivity and hierarchy and it was as follows: ‘Ⅰ. Changes in Market Environment and Consumption Culture’, ‘Ⅱ. Rational Purchasing Decision Making and Financial Management’, ‘Ⅲ. Types and Solutions of Consumer Problems’, ‘IV. Consumer Rights and Consumer Citizenship’. Finally, we implemented plan of the school consumer education content framework in five aspects: ⑴ subject education, ⑵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cross-curricular learning, ⑶ free-semester program (free school year program) and career education, ⑷ extracurricular consumer education program, and ⑸ consumer competency measurement tool development.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1544 2671-728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