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수 및 배수 처리에 따른 콩의 생육 및 수량특성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콩의 한해 및 습해에서의 안정생산 재배법 확립을 위한 물관리 방법별 생육특성 및 수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2021년과 2022년 2년에 걸쳐 무처리, 무굴착 땅속배수, 지중점적 관개 및 무굴착 땅속배수 + 지중점적 관개(관·배수 통합) 4처리로 수행하였다. 연차간 토양수분함량 및 토양수분장력은 관·배수 통합 처리구에서 토양 수분 장력 변이가 낮고, 안정적 토양수분 유지가 가능했으며, 2021년 생육특성 조사에서는 관·배수 통합 처리구 초장이 57.1㎝로 가장 길게 나타나, 가장 짧은 무관개 43.1㎝ 대비...
Saved in:
Published in | 농업생명과학연구 Vol. 57; no. 3; pp. 31 - 37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30.06.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콩의 한해 및 습해에서의 안정생산 재배법 확립을 위한 물관리 방법별 생육특성 및 수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2021년과 2022년 2년에 걸쳐 무처리, 무굴착 땅속배수, 지중점적 관개 및 무굴착 땅속배수 + 지중점적 관개(관·배수 통합) 4처리로 수행하였다. 연차간 토양수분함량 및 토양수분장력은 관·배수 통합 처리구에서 토양 수분 장력 변이가 낮고, 안정적 토양수분 유지가 가능했으며, 2021년 생육특성 조사에서는 관·배수 통합 처리구 초장이 57.1㎝로 가장 길게 나타나, 가장 짧은 무관개 43.1㎝ 대비 32.5% 더 길게 조사되었으며, 2022년 초장 또한 같은 경향으로 관·배수 통합 > 지중점적관개 > 무굴착 땅속배수 > 무관개 순서로 길었다. 수량구성요소에서도 생육특성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에 수량도 수량구성요소가 가장 높았던 관·배수 통합 처리구에서 연차간 각각 409, 346 kg/10a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관개량 및 물 이용효율 평가에서는 관·배수 통합 처리구가 지중점적관개 처리구 대비 일평균 관개량 203.1 ton/10a 더 많을 뿐만 아니라, 물 이용효율에서도 45.6% 더 낮게 나왔기 때문에 추후, 기후변화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물관리와 한정된 농업용수 사용을 최대화로 할 수 있는 관개량에 따른 더 세부적인 연구가 추가된다면, 현재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범지구적 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환경에서 보다 더 물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고, 안정적인 콩 물관리 재배기술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levels of underdrainage, subsurface drip irrigation, and integrated irrigation and drainage to find out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quantity by water management method to establish a stable production cultivation method in drought injury and water injury of soybean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As for soil moisture content and soil moisture tension between years, the soil moisture tension variation was low in the integrated irrigation and drainage treatment area, and stable soil moisture was maintained. In the first-year growth characteristics survey, the plant height in the integrated irrigation and drainage treatment group was 57.1 cm, which was 32.5% longer than the shortest 43.1 cm without irrigation. The second-year plant height was also longer in the order of integration of irrigation and drainage > subsurface drip irrigation > underdrainage > no irrigation with the same trend. The yield components also showed the same tendency as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us, the yield was highest in the integrated irrigation and drainage treatment area, which had the highest yields component, with 409 and 346 kg·10a-1, respectively, between years. However, in the evaluation of irrigation amount and water use efficiency, the integrated irrigation and drainage treatment group not only showed 203.1 ton·10a-1 more daily average irrigation amount than the subsurface drip irrigation treatment group, but also showed 45.6% lower water use efficiency, so that it will be more efficient in the climate change environment in the future. If a more detailed study is add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irrigation that can maximize efficient water management and limited use of agricultural water in climate change environments, water efficiency will be higher than in environments where global water shortages appear due to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table soybean water management cultivation technology. |
---|---|
ISSN: | 1598-5504 2383-82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