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공충진막을 위한 다공성 지지체 친수화 처리
In this study, we employed anionic, cationic, and nonionic surfactants for the hydrophilization of porous substrates used in the fabrication of pore-filling membranes. We investigated the extent of hydrophilization based on the type of surfactant, its concentration, and immersion time. Furthermore,...
Saved in:
Published in | 전기화학회지 Vol. 26; no. 4; pp. 71 - 79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In this study, we employed anionic, cationic, and nonionic surfactants for the hydrophilization of porous substrates used in the fabrication of pore-filling membranes. We investigated the extent of hydrophilization based on the type of surfactant, its concentration, and immersion time. Furthermore, we used the hydrophilized substrates to produce pore-filling anion exchange membranes and compared their ion conductivity to determine the optimal hydrophilization conditions. For the ionic surfactants used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hydrophilization progressed rapidly from the beginning of immersion when the applied concentration was 3.0 wt%, compared to lower concentrations (0.05, 0.5, and 1.0 wt%). In contrast, for the relatively larger molecular weight non-ionic surfactants, smooth hydrophilization was not observed. There was no appare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hydrophilization and the ion conductivity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This discrepancy suggests that an excessive hydrophilization process during the treatment of porous substrates leads to excessive adsorption of the surfactant on the sparse surfaces of the porous substrate, resulting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porosity and subsequently decreasing the content of polymer electrolyte capable of ion exchange,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membrane. 본 연구에서는 세공충진막 제조를 위해 활용되는 다공성 지지체의 친수화 처리를 위해서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으며, 계면활성제 종류, 농도 및 함침 시간에 따른 친수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친수화 처리한 지지체를 이용하여 세공충진형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고 이온전도도를 비교하여 최적의 친수화 조건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경우에는 함침 적용 농도가 3.0 wt% 이상일 때 함침 초기부터 다른 농도(0.05, 0.5 및 1.0 wt%)에 비해 급격하게 친수화가 진행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에 비해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경우는 친수화 진행이 원활하지 않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친수화 정도와 음이온교환막의 이온전도도와의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러한 이유는 다공성 지지체의 친수화 공정 시 과도한 친수화 과정은 다공성 지지체의 소수 표면에 계면활성제가 과도하게 흡착하게 되어 기공률 감소가 커지게 되고 이를 통해 이온을 교환할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의 함량이 낮아지게 됨으로써 막의 전기적 저항을 크게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334859961668 |
ISSN: | 1229-1935 2288-9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