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발견된 하나의 기관지 동맥에서 발생한 다발성 동맥류에 대한 혈관내 치료: 증례 보고
Bronchial artery aneurysm (BAA) is a rare disease, and multiple aneurysms of a single bronchial artery are rarer.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lesion, it is at risk of rupture and can cause massive hemoptysis or severe pain. We report a rare case of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BAE) of multiple a...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84; no. 5; pp. 1191 - 1196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Bronchial artery aneurysm (BAA) is a rare disease, and multiple aneurysms of a single bronchial artery are rarer.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lesion, it is at risk of rupture and can cause massive hemoptysis or severe pain. We report a rare case of bronchial artery embolization (BAE) of multiple aneurysms of a single bronchial artery. During medical examination, a 64-year-old female was diagnosed with multiple BAAs and endobronchial lesions in the right lower lung on CT 10 years prior to presentation to our hospital. Further evaluation of the lesions was recommended; however, the patient was lost to follow-up. The patient complained of dyspnea and visited our hospital, and the size of the BAA had increased on CT. BAE was done successfully using N-butyl-2-cyanoacrylate and detachable coils. Follow up CT after BAE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extent of inflammatory lesion in the right lung. 기관지 동맥류는 전 세계적으로 드문 질환으로 특히 한 개의 기관지 동맥에서 기인한 여러 개의 동맥류는 매우 드물다. 이는 병변의 크기에 상관없이 파열의 위험이 있고 대량 객혈과 심각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저자들은 하나의 기관지 동맥에서 발생한 다발성 동맥류에 대해 성공적으로 색전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64세 여성이 10년 전 건강검진에서 시행한 흉부 CT에서 다수의 기관지 동맥류와 우하폐의 기관지 병변이 발견되었다. 환자는 이에 대한 추가적 검사를 권유받았으나 거절 후 추적 소실되었다. 이후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 후 시행한 흉부 CT에서 기관지 동맥류의 크기가 증가한 소견을 보였고, 동맥류에 대해 분리코일, N-butyl-2-cyanoacrylate를 이용하여 성공적인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색전술이후 추적 흉부 CT에서 우하폐의 염증성 병변의 범위가 감소한 것이 확인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317657865520 |
ISSN: | 2951-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