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막이공의 리스크 분석을 통한 리스크 요인별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According to a recent study, most construction companies in Korea do not manage risk effectively, and it is judged that the risk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improved. In addition, most risk-related studies deal with risks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and there are few studies dealing with proc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Vol. 42; no. 5; pp. 681 - 688
Main Authors 전병주, 무리타라 아데바요 아이사, 김현비, 이양규, 김병수, Jeon, Byung Ju, Isah, Muritala Adebayo, Kim, Hyun Bee, Lee, Yang Gyu, Kim, Byung Soo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2022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According to a recent study, most construction companies in Korea do not manage risk effectively, and it is judged that the risk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improved. In addition, most risk-related studies deal with risks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and there are few studies dealing with process risks at the project construction stag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uggest a risk response plan through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risk factors that may occur in retaining work among process risks. To this end, a workshop was held for risk experts to identify and analyze risks that may occur during the construction of retaining work for apartm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expected that savings of KRW 4.97 billion would be possible in the 95 % confidence interval, and the maximum possible cost was reduced from KRW 15 billion to about KRW 10 billion. Based on the risk reduction ratio, it was found that risks that can be reduced without any special input cost, risks with large effects in response to risks, and risks with in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Therefore, using the types and risk factors presented in this study as guide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successfully operating the project if an appropriate response strategy is prepared and systematically responded to the site conditions.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국내 대부분의 건설사는 리스크 관리를 효과적으로 하고 있지 못하며, 리스크 관리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리스크 관련 연구도 대부분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리스크를 다루고 있으며 프로젝트 시공단계에서의 공정리스크를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정리스크 중 흙막이공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의 분석 및 분류를 통해 리스크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리스크 전문가를 대상으로 워크숍을 실시하여 아파트 흙막이공 시공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식별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95 % 신뢰구간에서 49.7억 원의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최대 발생 가능한 비용은 150억 원에서 100억 원가량으로 줄어들었다. 리스크 저감 비율 기준으로 별다른 투입비용 없이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는 리스크, 리스크 대응 시 효과가 큰 리스크와 효과가 미미한 리스크로 구분하여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형들과 리스크 요인들을 지침으로 삼아 현장 여건에 맞는 적절한 대응 전략을 갖추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경우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31961088296
ISSN:1015-6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