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진 임플란트에서 임플란트 인상의 정확도 평가를 위한 역공학 기법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1) to compare the reverse engineering technique with other existing measurement methods and (2) to analyze the effect of implant angulations and impression coping types on implant impression accuracy with reverse engineering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Three...
Saved in:
Published in | Taehan Chikwa Poch'ol Hakhoe chi Vol. 59; no. 3; pp. 261 - 270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2021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1) to compare the reverse engineering technique with other existing measurement methods and (2) to analyze the effect of implant angulations and impression coping types on implant impression accuracy with reverse engineering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Three different master models were fabricat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mplant center points in parallel master model was measured with different three methods; digital caliper measurement (Group DC), optical measuring (Group OM), and reverse engineering technique (Group RE). The 90 experimental models were fabricated with three types of impression copings for the three different implant angulation and the angular and distance error rate were calculated. One-way ANOVA was used for comparison among the evaluation methods (P < .05). The error rates of experimental groups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P < .05). Results.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DC and RE (P < .05), Group OM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other groups (P > .05). The standard deviations in reverse engineering were much lower than those of digital caliper and optical measurement. Hybrid group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ick-up groups in distance error rates (P > .05). Conclusion. The reverse engineering technique demonstrated its potential as an evaluation technique of 3D accuracy of impression technique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 기존에 존재하던 몇 가지 다른 임플란트 인상의 정확도 평가방법들과 역공학 기술을 비교하고 (2) 역공학 기술로 임플란트 식립 방향 및 임플란트 인상용 코핑의 종류에 따른 인상 채득의 정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임플란트 식립 방향에 따른 세 가지 다른 마스터 모델을 제작하였고, 그 중 임플란트를 평행하게 식립한 마스터 모델에서 두 임플란트 중심점 사이의 거리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디지털 캘리퍼를 이용한 측정 방법(그룹 DC), 광학 사진을 이용한 측정 방법(그룹 OM) 및 역공학 기술을 이용한 측정 방법(그룹 RE)). 세 종류의 마스터 모델 별로 각각 세 가지 유형의 임프레션 코핑을 이용하여 인상을 채득한 후 총 90개의 실험 모델을 제작하였으며 각 실험 모델들과 마스터 모델 간의 각도 및 거리의 오차율(error rate)을 계산하였다. 세 가지 평가 방법 간의 비교에는 One-way ANOVA가 사용되었다 (P < .05). 각 실험 그룹들의 오차율은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 < .05). 결과: 그룹 DC의 오차율과 그룹 RE의 오차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P < .05), 그룹 OM의 오차율을 다른 그룹들과 비교하였을 때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5). 역공학 기술로 측정한 오차율의 표준 편차는 디지털 캘리퍼 및 광학 사진 측정으로 계산한 오차율의 표준 편차보다 상당히 낮았다. 하이브리드 인상용 코핑 그룹은 거리 오차율에서 픽업 인상용 코핑 그룹과 큰 차이가 없었다 (P > .05). 결론: 본 실험을 통해 역공학 기술이 임플란트 인상의 삼차원적인 정확도 평가 기법으로서의 잠재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2122949769967 |
ISSN: | 0301-28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