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터영성이 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workplace spirituality, creativity,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in the Korean context. In South Korea, workplace spirituality has recently received attention from scholars and practitioners. However, research on workplace spirituality i...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 19; no. 8; pp. 513 - 524
Main Authors 전기석, 데이비드 패스모어, Jeon, Ki Seok, Passmore, David L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2019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workplace spirituality, creativity,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in the Korean context. In South Korea, workplace spirituality has recently received attention from scholars and practitioners. However, research on workplace spirituality is little known in the South Korean business context. Creativity is positively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The workplace spirituality can provide a corporate several advantages for their competitiveness in developing employees' creativity as well as resulting in more effecti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514 cases was analyzed for this study. Three all factors (Inner life, meaningful work, & membership) of workplace spirituality as intrinsic motivation positively influenced employee creativity. employee creativity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team productivity. 본 논문의 목적은 일터영성이 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 속에서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최근 한국에서는 조직의 실무자들과 연구자 그룹에서 일터영성에 대한 관심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반면, 한국 조직의 맥락에서 일터영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터영성과 팀 생산성, 그리고 창의성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창의성은 내적 동기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일터 영성은 내적 동기요소로서 임직원의 창의성을 촉진하는 것 뿐 아니라 이를 통해서 조직의 성과에도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업 임직원 514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일터영성 세 가지 요소인 내적 삶과 의미 있는 일, 그리고 조직소속감은 창의성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창의성은 일터영성과 팀 생산성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이에 따라 이론과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1926072346287
ISSN:1598-4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