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수유(母乳授乳) 권장교육(勸?敎育)이 모유수유(母乳授乳) 실천(實踐)에 미치는 영향(影響)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 of education for breastfeeding on practice of breastfeeding 171 primiparae (experimental group with education 83 and control group without education 88) who gave birth in hospitals located in Taegu City from October 25, 1999 to December 25, 1999 and p...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 6; no. 4; pp. 632 - 642
Main Authors 서인숙, 정문숙, 서영숙, Seo, In-Suk, Jung, Moon-Sook, Suh, Young-Soo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2000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 of education for breastfeeding on practice of breastfeeding 171 primiparae (experimental group with education 83 and control group without education 88) who gave birth in hospitals located in Taegu City from October 25, 1999 to December 25, 1999 and planned to breastfeed their children after childbi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s practice rate of breast-feeding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at the points of two weeks, four weeks, eight weeks and twelve weeks after childbirth(p<0.05). However, the rate at the points of sixteen weeks and twenty weeks after childbirth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2) The experimental group's discontinuance rate of breast-feeding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s at all the points of two weeks, four weeks, eight weeks, twelve weeks, sixteen weeks and twenty weeks after childbirth,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The discontinuance rate of breast-feeding at the point of four weeks after childbirth was the highest in both groups. It accounted for 25.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6.8% in the control group. 3) The reason of which the rate appeared to be the highest among those for discontinuance of breast-feeding was the lack of breast milk. The rate accounted for 65.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50.7%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education for encouraging breast-feeding provided to the primiparae after childbirth has an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e of breast-feeding. 본 연구는 산후 모유수유 권장교육이 초산모의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대구 시내에 소재한 3차병원, 2차병원 및 1차병원에서 1999년 10월 25일부터 12월 25일 까지 분만하고, 분만 후 모유수유를 계획한 미 취업 초산모로 실험군 83명, 대조군 88명으로 총 171명이었다. 연구절차는 연구대상자에게 분만 후 3일 이내에 일반적 특성, 산과적 및 수유 관련 특성과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모유에 대한 태도를 자가 보고식 설문지로 사전조사 하였다. 사전 설문지 조사 후 대조군에게는 일반간호만 실시하였고, 실험군에게는 모유수유 권장교육을 실시하였다. 사후조사는 산후 2주, 4주, 8주, 12주, 16주, 20주에 모유수유 지속 유, 무 및 모유수유 중단 시 그 이유에 대해 전화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유수유 지속정도는 산후 2주, 4주 8주, 12주에서는 실험군의 모유수유 실천율이 대조군 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산후 16주, 20주에서는 모유수유 실천율은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모유수유 완전 중단시점은 산후 2주, 4주, 8주, 12주, 16주, 20주 모든 시점에서 실험군의 모유수유 중단율이 대조군 보다 낮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산후 4주에서의 모유수유 중단율이 실험군 25.5%, 대조군 36.8%로 두군 모두 가장 높았다. 3) 모유수유 중단 이유 중 가장 많은 것은 모유량 부족으로 실험군 65.5%, 대조군 50.7%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산후 초산모에게 제공한 모유수유 권장 교육이 모유수유실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영아에게 적정 기간까지 모유수유를 성공적으로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산후 모유수유 교육 뿐 만아니라 산전을 포함하여 퇴원 후에도 지속적인 모유수유 강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산후 3-4주 사이에 재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교육 시 이를 반영해야 할 것이다. 둘째, 모유수유 중단 요인으로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모유량 부족에 대한 연구가 더욱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중재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0016637997920
ISSN:1225-9543
2093-7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