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과학주의(泛科學主義)에 대응하는 ‘생명의 학문’ ― 모종삼(牟宗三) 철학을 중심으로

근대 이후 수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새롭게 형성된 현대과학은 ‘과학’에 대한 무한한 신뢰를 가지고 있으며, 인간의 모든 문제를 과학적 차원에서만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철학을 비롯한 현대 인문학 역시 과학의 방법론을 바탕으로 과학의 한 영역으로 새롭게 정립되어 여느 개별과학과 마찬가지로 ‘과학’이 되고 있다. 오늘날 우리 학계에서는 언어, 문학, 역사, 철학 등을 연구하고 탐구하는 학문을 ‘인문학’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문학은 ‘인문과학’이라는 용어로 대체되거나 혼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문과학’이라는 용어로 대체되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중국학보 Vol. 108; pp. 289 - 309
Main Authors 박승현, Park Seung Hy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중국학회 30.05.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근대 이후 수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새롭게 형성된 현대과학은 ‘과학’에 대한 무한한 신뢰를 가지고 있으며, 인간의 모든 문제를 과학적 차원에서만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철학을 비롯한 현대 인문학 역시 과학의 방법론을 바탕으로 과학의 한 영역으로 새롭게 정립되어 여느 개별과학과 마찬가지로 ‘과학’이 되고 있다. 오늘날 우리 학계에서는 언어, 문학, 역사, 철학 등을 연구하고 탐구하는 학문을 ‘인문학’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문학은 ‘인문과학’이라는 용어로 대체되거나 혼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문과학’이라는 용어로 대체되어 새로운 지식의 탐색과 확장을 중시하는 학문으로 과학적으로 발전되어 온 ‘인문학’은 현재 그 위치와 역할에 의해 대내외적으로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인문학’이 이미 독자적인 존재 기반을 상실했기 때문에 위기에 직면해 있다면, 현대 사회에서 인간이 처한 다양한 위기 상황에 대한 실천적 대응과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은 어불성설일 것이다. 인문학을 통해 현대 사회의 위기에 대한 실천적 대응과 대안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철학을 포함한 ‘인문학’이 무엇인지, 그 기능과 역할은 무엇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반성적 질문을 던져야 한다. 현대사회를 위험사회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사회에서 인류를 포함한 글로벌 생태계가 파괴에 직면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과 위기감은 항상 우리를 압박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이 그것을 실현하여 ‘재난’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존 인간 삶의 패러다임과 세계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세계관이 전환되지 않는다면, 인류의 미래는 어둡다. 사실 인류 이외에는 그 무엇도 인류의 운명을 결정할 수 없다. 현 시점에서 그러한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재난 상황에 윤리, 철학, 인문학이 개입할 가능성이 있다. 현재의 ‘위험사회’의 ‘불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삶의 방식과 가치관에 대한 변화를 요구할 수밖에 없다. 그러한 가치관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인간의 의지에 호소할 수밖에 없다. 인간 의지의 표현은 인간 이상의 실현을 위한 것이며, 그 이상은 ‘내재적 도덕성’에 근거해야 한다. ‘내재적 도덕성’에 근거한다는 것은 인간이 자신의 존재를 긍정함과 동시에 타자성을 인정하는 공존감을 표현하는 것이다. 본고는 당대 신유가인 모종산(1909-1995)의 철학 사상을 토대로 ‘범과학주의’ 비판과 ‘생명의 학문’의 회복을 통해 인간 주체성 회복과 ‘인간다움’의 실현 문제를 논한다. 모종산은 동양 철학, 특히 유학을 ‘생명의 학문’으로 규정한다. Modern science, which has been newly formed based on mathematical thinking since modern times, has unlimited trust in ‘science’, and seems to be discussing all human problems only at the scientific level. Modern humanities, including philosophy, have also been newly established as an area of science based on the methodology of science, becoming a ‘science’ like any other individual science. Today, in our academic world, studies that study and explore language,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are defined as ‘humanities’, and such humanities are replaced with the term ‘humanities science’ or used interchangeably. However, it is true that “humanities,” which has been replaced by the term “humanities science” and has been scientifically developed as a discipline that values the search and expansion of new knowledge, is currently being seriously challenged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by its position and role. If “humanities” are facing a crisis because they have already lost their own basis for existence, it would be nonsense to suggest practical responses and practical alternatives to various crisis situations facing humans in modern society. In order to discuss practical responses and alternatives to the crisis in modern society through humanities, we must first ask reflective questions about what “humanities,” including the philosophy we are currently using, and what its functions and roles should be. Modern society is defined as a dangerous society. In such a dangerous society, anxiety and a sense of crisis that the global ecosystem, including mankind, may face destruction always put pressure on us. In order to prevent this ‘risk’ from becoming a ‘disaster’ by realizing it, a way to change the existing paradigm and worldview of human life must be prepared. If the world view is not transformed, the future of mankind is dark. In fact, nothing but mankind can determine the fate of mankind. At this poin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thics, philosophy, and humanities will intervene in disaster situations that contain such “dangers.” In order to eliminate the ‘anxiety’ of the current ‘risk society’, we have no choice but to demand a change in our existing way of life and values. Such a change of values inevitably appeals to the human will. The expression of human will is for the realization of human ideals, and that ideal must be based on ‘internal morality’. To be based on ‘internal morality’ is to express a sense of coexistence in which humans affirm their existence and at the same time recognize their otherness. Based on the philosophical ideas of modern neo-Confucianist Mou zong-san (1909-1995),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 of restoring human subjectivity and realizing ‘humanity’ through criticism of ‘pan-scienceism’ and the restoration of ‘the learning of life’. Mou zong-san defines Eastern philosophy, especially Confucianism, as ‘the learning of life’, which means practical wisdom.
Bibliography:The Society for Chinese Studies
ISSN:1226-850X
DOI:10.35982/jcs.1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