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 Women

목적: 본 연구는 한국 성인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심리적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 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2차년도(2020년) 제8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19-64세 성인 여성 2,181명이 최종 분석 대상이 되었다.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요인을 종속변수로 도출하기 위해 3가지 모델을 활용하여 다변량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델 1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모델 2에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행태 특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세 번째 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 49; no. 2; pp. 169 - 178
Main Authors 도은영, Eun Youg Do, 황진섭, Jin Seub Hwang, 홍연란, Yeon Ran Ho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30.05.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한국 성인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심리적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 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2차년도(2020년) 제8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19-64세 성인 여성 2,181명이 최종 분석 대상이 되었다.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요인을 종속변수로 도출하기 위해 3가지 모델을 활용하여 다변량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델 1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모델 2에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행태 특성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세 번째 모델에서는 심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행태 특성도 고려하였다.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성인 후기, 폐경기, 낮은 가계소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성인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행태 특성에서는 건강관련 삶의 질이 흡연, 음주, 수면, 신체활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이들 변수가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지는 않았다. 심리적 특성에서는 우울증과 인지된 스트레스가 건강관련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성인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계소득이 낮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폐경기 여성에 대한 특별한 관리와 지원이 필요하며 우울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적절한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Korean adult women and their socio-demographics, health behavior,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ethod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NHNES) in the second year (2020), and the subjects consisted of 2,181 adult women between the ages of 19-64. A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employing three model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 the dependent variable. In Model 1,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While Model 2 includes both socio-demographics and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In Model 3,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socio-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Results: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adult women in late adulthood, post-menopause, low household income, and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found to be low in the analysi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the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smoking, drinking, sleeping, and physical activity but these variables were not identified as the affecting factors. For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were found to be factors lower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nclusions: To enhanc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adult women, prevention and proper management of depression and stress for those with poor health behavior are needed with special care and support for post-menopause women with low household income and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tatistics
ISSN:2465-8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