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목소리가 반영된 바깥놀이 실행연구에서 나타난 유아의 변화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자신의 관점에 따라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의사결정하는 과정을 반영하는 것, 즉 유아의 목소리가 반영된 바깥놀이를 위한 협력적 실행 과정에서 유아의 변화를 분석하며 그 맥락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충남 A도시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의 만 5세반 유아 25명과 담임교사 1명을 중심으로, Kemmis와 McTaggart(1998)의 실행연구 모형을 적용하였다. 결과 유아의 목소리가 반영된 바깥놀이를 위한 협력적 실행 과정에서 유아는 자신들의 생각을 꺼내기 시작하며, 자신의 흥미와 관심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융합과학회지 Vol. 13; no. 4; pp. 213 - 231
Main Authors 양선희, Yang Sun-hee, 유영의, Yoo Yung-eu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융합과학회 30.04.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가 자신의 관점에 따라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의사결정하는 과정을 반영하는 것, 즉 유아의 목소리가 반영된 바깥놀이를 위한 협력적 실행 과정에서 유아의 변화를 분석하며 그 맥락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충남 A도시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의 만 5세반 유아 25명과 담임교사 1명을 중심으로, Kemmis와 McTaggart(1998)의 실행연구 모형을 적용하였다. 결과 유아의 목소리가 반영된 바깥놀이를 위한 협력적 실행 과정에서 유아는 자신들의 생각을 꺼내기 시작하며, 자신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자율적이고 주도적으로 바깥놀이를 선택하며 자신의 목소리를 분명하게 드러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는 놀이자로서 선택권을 가지고 자신만의 놀이를 탐험하고 창조해 나갈 수 있게 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의 목소리가 반영된 바깥놀이를 위한 협력적 실행과정을 통해 유아들이 놀이주체자 및 참여자로서의 목소리를 갖게 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참여권 실행을 위해 유아의 목소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한 점, 그리고 유아의 목소리를 반영한 바깥놀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 및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nges in young children through a collaborative action process for outdoor play reflecting their subjective and active decision-making processes, in other words, reflecting the voices of young children. Method The research method applied the action research model proposed by Kemmis and McTaggart (1998).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25 five-year-old children and a teacher from a kindergarten in A City, Chung-nam. Results In the collaborative action process for outdoor play reflecting children's voices, young children began to articulate their thoughts, autonomously and proactively choosing outdoor activities based on their interests and preferences, and clearly expressing their voices. Moreover, in this process, children gained the autonomy to explore and create their own play, exercising their right to choice as players. Conclusion Through the collaborative action process for outdoor play reflecting children's voices, this study found that young children have gained voices as both players and participants in pla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researchers' interest in the exercise of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conducting research with a focus on children's voices, and seeking ways to address various problems and difficulties that may arise in outdoor play reflecting children's voices.
Bibliography:Korean Society for the Convergence Science
ISSN:2671-7395
DOI:10.24826/KSCS.13.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