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대년 철학에 나타난 이익[利]과 의로움[義]의 어울림 문제

장대년은 이익과 의로움을 대립이 아니라, 어울림의 관계로 생각한다. 그는 이익을 사적인 이익과 공적인 이익으로 구분한다. 그는 사익을 지양의 대상으로 여기고, 공익을 지향의 대상으로 여긴다. 그는 공익을 광대한 민중의 이익으로서 의로움의 영역에 해당시킨다. 이는 그가 묵가와 밀 등 공리주의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는 의로움을 시공을 초월하는 선험적인 도덕성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결정되는 시공의 제약을 받는 가치로 여긴다. 또한 그는 이익을 물질생활로 여기고, 의로움을 정신생활의 가치로 여긴다. 그는 물질은 정신의 토대이고 정신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중국학보 Vol. 106; pp. 411 - 429
Main Authors 이철승, Lee Cheol Se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중국학회 30.11.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장대년은 이익과 의로움을 대립이 아니라, 어울림의 관계로 생각한다. 그는 이익을 사적인 이익과 공적인 이익으로 구분한다. 그는 사익을 지양의 대상으로 여기고, 공익을 지향의 대상으로 여긴다. 그는 공익을 광대한 민중의 이익으로서 의로움의 영역에 해당시킨다. 이는 그가 묵가와 밀 등 공리주의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는 의로움을 시공을 초월하는 선험적인 도덕성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결정되는 시공의 제약을 받는 가치로 여긴다. 또한 그는 이익을 물질생활로 여기고, 의로움을 정신생활의 가치로 여긴다. 그는 물질은 정신의 토대이고 정신은 물질이 최고로 발전한 상태라는 마르크스주의의 관점으로 이 문제에 접근한다. 이처럼 그는 이익과 의로움의 관계를 당면한 중국의 사회주의 시장경제 논리를 강화시키기 위해 공적인 이익과 의로움의 어울림이라는 논리를 정립했다. 이는 이익과 의로움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면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그는 사익과 공익을 구분하는 기준과 사익의 내부에서 형성되는 다양한 양상에 대해 엄밀하게 분석하지 않았다. 그는 사익 가운데 ‘나를 위하는’ 생존 차원의 욕망과 ‘나만 위하는’ 이기적인 탐욕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에 대해 깊게 성찰하지 않았다. 또한 그는 자본주의의 이념에 기초하고 있는 시장경제의 속성에 대해 제한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자본주의는 사익을 중시하고, 사회주의는 생산수단의 공유화를 중시한다. 사회주의 시장경제는 사익을 지양하고 공익을 중시하는 이론이지만, 시장경제에서 공익은 사익을 토대로 하여 성립한다. 이는 시장경제 체제에서 사익과 공익이 충돌할 때 사익을 우선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Zhang Dainian thinks of profit and righteousness as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ony, not confrontation. He divides profits into private and public profit. He regards private profit as the object of avoidance and the public profit as the object of orientation. He puts the public profit in the realm of righteousness as a vast popular profit. This was influenced by utilitarianism such as Mojia(墨家) and John Stuart Mill. He regards righteousness not as a transcendental morality that beyond time and space, but as a value subject to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hat are determined by experience. Also, He regards profit as material life and righteousness as the value of mental life. He approaches this problem from the Marxist point of view that matter is the foundation of the mind and the mind is the state in which matter is at its best developed. As such, he established the logic of the harmony of public profit and righteousness in order to strengthen Chinese socialist market economy logic,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it and righteousness. This is significant in terms of develo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it and righteousness. However, He did not strictly analyze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between private and public profit and the various aspects formed inside private profit. Among his private profit, he did not reflect deeply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sire for survival “for me” and the selfish greed “for me only.” Also, He expressed a limited view of the nature of the market economy based on the ideology of capitalism. Capitalism values private profit, and socialism values the sharing of means of production. The socialist market economy is a theory that avoids private profit and values the public profit, but in a market economy, the public profit is established based on private profit. This means that in the market economy system, when private profit and public profit collide, private profit must be prioritized.
Bibliography:The Society for Chinese Studies
ISSN:1226-850X
DOI:10.35982/jcs.1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