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ckman의 순서형 프로빗 표본선택모형을 이용한 외국인 근로자의 임금결정요인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국인 근로자의 임금결정요인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이민자체류실태 및 고용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인적 자본 이론 및 사회적 연결망 이론을 근거로 임금결정요인들을 도출하였다. Heckman의 순서형 프로빗 표본선택모형을 이용하여 임금결정 요인들의 영향력을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신국가에서 형성된 인적 자본 요인으로서 학력과 직무에 대한 전문성은 임금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에서 축적된 인적 자본 요인으로서 국내 동일업종 종사기간·이직경험 여부·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가정책연구 Vol. 37; no. 3; pp. 111 - 129
Main Authors 이주실, Jusil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30.09.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국인 근로자의 임금결정요인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이민자체류실태 및 고용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인적 자본 이론 및 사회적 연결망 이론을 근거로 임금결정요인들을 도출하였다. Heckman의 순서형 프로빗 표본선택모형을 이용하여 임금결정 요인들의 영향력을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신국가에서 형성된 인적 자본 요인으로서 학력과 직무에 대한 전문성은 임금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에서 축적된 인적 자본 요인으로서 국내 동일업종 종사기간·이직경험 여부·한국체류기간도 마찬가지로 임금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행연구와 달리 출신국가에서 형성한 인적 자본이 한국에서 축적된 인적 자본보다 임금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한국에서 인적 자본을 축적할 수 있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비롯된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한편, 사회연결망 요인으로서 부모 및 형제 등 가족에 의한 친밀연결망이 취업과 임금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노동시장에서 불리한 지위에 있는 집단의 취업에 있어서 친밀연결망이 상대적으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에서 인적 자본을 축적할 수 있는 기회제공과 더불어 고용사업장에서 인력수급에 대한 계획과 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 지원이 요구되며 사업장 변경 및 근로기간과 관련한 법적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wages of foreign workers, using survey data on living conditions among foreign workers and the employment of foreign laborer in Korea. From human capital theory and social network theory, the relevant determinants of wages are derived. This study employs the Heckman’s ordered probit model to eliminate sample selection problems.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the wages of foreign worker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rsonal human capital formed in the home country such as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pert skills. Also, the wages of foreign workers are positively related to personal human capital formed in Korea such as period of employment in the same industry, experience of turnover and duration of stay in Korea. The interesting finding is that personal human capital formed in the home country than Korea has a greater impact on the wages of foreign worker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difference seems to result from the fact that foreign workers have little chance of developing their human capital in Korea. Meanwhile, in line with previous research, personal social networks by parents and sibling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wages of foreign workers. These finding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creating a substantial vision for the demand and supply of foreign workforce.
Bibliography:Institute of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ISSN:1738-88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