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공원 이용자 핫스팟 분석 - 서울 성동구 공원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도시공원 이용자 분포를 조사하여 이들이 어디에서 왔는지 알기 어려운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모바일 시그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용자 분포를 기반으로 공원 계획 및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지는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지닌 서울 성동구 도시공원 5곳을 선정하였다. 서울시 빅데이터캠퍼스에서 제공받은 모바일 신호데이터를 사용하여 이용자 유입분포를 공원별 핫스팟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도시 맥락과 공원 영향권의 관계에 대해 도출했다. 공원 주변 상업비율이 높은 서울숲(P1)과 성수공원(P3...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조경학회지 Vol. 51; no. 3; pp. 54 - 69
Main Authors 조민균, Cho Min-gyun, 박찬, Park Chan, 서자유, Seo Ja-yoo, 최혜영, Choi Hye-y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조경학회 30.06.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도시공원 이용자 분포를 조사하여 이들이 어디에서 왔는지 알기 어려운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모바일 시그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용자 분포를 기반으로 공원 계획 및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지는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지닌 서울 성동구 도시공원 5곳을 선정하였다. 서울시 빅데이터캠퍼스에서 제공받은 모바일 신호데이터를 사용하여 이용자 유입분포를 공원별 핫스팟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도시 맥락과 공원 영향권의 관계에 대해 도출했다. 공원 주변 상업비율이 높은 서울숲(P1)과 성수공원(P3)은 주변이 주거지역인 응봉공원(P2), 독서당공원(P4), 대현산공원(P5)보다 넓은 사용자 핫스팟을 보여주었다. 주변에 상업공간이 많은 공원이 넓은 영향권을 보였으며, 공원의 규모가 크고 경사가 완만한 공원은 영향권이 더 넓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원 이용자의 유입 분포를 기반으로 도시 공원 계획과 관리에 기존과 다른 자료를 기반으로 한 접근방식을 제안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users in urban park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which made it difficult to determine where data came was collected. It aim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park planning and management based on user distribution using mobile signal data. Five urban parks in Seongdong-gu, Seoul, with various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Mobile signal data provided by the Seoul Big Data Campus was us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user inflow through hot spot analysis per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context and park influence area was derived. Seoul Forest (P1) and Seongsu Park (P3), which have a high proportion of commercial spaces around the park, showed wider user hotspots compared to Eungbong Park (P2), Dokseodang Park (P4), and Daehyunsan Park (P5), which were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Parks with a significant presence of commercial spaces had a broader influence, while parks with larger sizes and gentle slopes exhibited wider influence areas. This study proposed a novel data-based approach to urban park planning and management based on the inflow distribution of park users. Through this research, valuable insights were derived that could be utilized for urban park planning and management, aiming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park utilization.
Bibliography:Korean l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SSN:1225-1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