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이용과 섭식장애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여자 청소년의 소셜미디어의 이용과 섭식장애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소재의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여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최종 369개 응답자료에 대한 조절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소셜미디어 이용강도, 소셜미디어 수동이용, 소셜미디어 능동이용은 여자 청소년의 섭식장애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미디어 이용의 하위요인 중 소셜미디어 능동이용과 섭식장애의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청소년복지연구 Vol. 25; no. 2; pp. 51 - 72
Main Authors 임은영, Lim Eun-young, 이성규, Lee Sungkyu, 성혜연, Sung Hyeye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청소년복지학회 30.06.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여자 청소년의 소셜미디어의 이용과 섭식장애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소재의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여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최종 369개 응답자료에 대한 조절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소셜미디어 이용강도, 소셜미디어 수동이용, 소셜미디어 능동이용은 여자 청소년의 섭식장애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미디어 이용의 하위요인 중 소셜미디어 능동이용과 섭식장애의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자 청소년의 올바른 소셜미디어의 이용과 섭식장애 예방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usage and eating disorders among female adolescen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adolescent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Gyeonggi-do and Seoul areas, which yielded a total of 369 responses. The response data was then analyzed using a series of moderated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tensity of social media usage, passive social media usage, and active social media usage all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ating disorders among female adolescent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social media usage and eating disorders among female adolescent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appropriate social media use, preventing eating disorders, and enhancing self-esteem among female adolescents.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of Adolescent Welfare
ISSN:1229-4705
DOI:10.19034/KAYW.2023.25.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