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기 청소년 대상 ARC모델 기반 거주형 치료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ARC모델을 기반으로 거주형 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고위기 청소년들의 학교적응, 외상증상,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애착요인, 자기조절요인, 유능감요인을 중심으로 유연하게 개입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ARC모델을 기반으로 거주형 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모든 시간을 개입영역으로 보고 전체영역을 상담영역과 생활영역으로 나누고 상담영역과 생활영역에 적합한 목표를 정하고, 운영내용을 설정하고 적용하였다. 2021년 9월부터 2021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청소년복지연구 Vol. 25; no. 1; pp. 51 - 69
Main Authors 유인선, Yu In Sun, 송선희, Song Sun H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청소년복지학회 31.03.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ARC모델을 기반으로 거주형 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고위기 청소년들의 학교적응, 외상증상,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애착요인, 자기조절요인, 유능감요인을 중심으로 유연하게 개입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ARC모델을 기반으로 거주형 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모든 시간을 개입영역으로 보고 전체영역을 상담영역과 생활영역으로 나누고 상담영역과 생활영역에 적합한 목표를 정하고, 운영내용을 설정하고 적용하였다. 2021년 9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7회, 2022년 3월부터 2022년 5월까지 3회 진행되어 총 10번 진행되었다. 고위기 청소년들의 거주형 치료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학교적응, 외상증상, 문제행동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외상사건 및 고위기 환경으로 어려움을 나타내는 고위기 청소년을 위한 단·장기 치료프로그램의 모든 영역에 치료적 개입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고위기 학생들을 둘러싼 환경을 안전하게 제공할 필요성 있는 기관과 인력들이 어떻게 치료적 환경을 구성하고 조력할 수 있는지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residental treatment program for adolescents at high risk,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attachment, regulation, and competency(ARC) framework. Adolescents at high risk refer to those who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47 adolescents, who agree to participate in the residential treatment, and 42 caregiver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the pre-, during-, and post-treatment evaluation. These bi-weekly sessions involved both clinical and milieu programs. A total ten session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2021 to May, 2022.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reatment sessions in relation to the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rauma symptoms, and behavioral issues, demonstrating that the residential treatment program can also be effectively applied to other areas of life and provide short- and long-term treatments to adolescents who experience developmental trauma. This study further provides possible resolutions to people who are closely related to adolescents at high risk.
Bibliography:Korean Association of Adolescent Welfare
ISSN:1229-4705
DOI:10.19034/KAYW.2023.25.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