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적 전환인가, 전통의 변용인가 ― 문서형식의 변천을 통해 본 19세기 말 조청 관계

19세기 말 조청 관계의 이중적 구조는 유길준의 “兩截體制”로 표현된 바 있으며, 이후 “하나의 외교, 두 가지 체제”·“이중 기준” 등 관념적인 표현을 통해 청일전쟁의 발발로 양국 관계가 재편되기 전까지의 양국 관계를 과도기적 단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상 이 시기의 조청 관계를 두고 관념적 차원을 넘어 그 실상이 어떠했는지 대해서도 알아볼 필요가 있다. 현실적인 측면에서 19세기 말 양국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이 글에서는 같은 시기 조선 정부가 편집·제작한 대외관계 자료집인 『화안(華案)』에 수록하고 있는 문건과 그 형식...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중국학보 Vol. 103; pp. 263 - 288
Main Authors 金奉俊, Kim Bong-ju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중국학회 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19세기 말 조청 관계의 이중적 구조는 유길준의 “兩截體制”로 표현된 바 있으며, 이후 “하나의 외교, 두 가지 체제”·“이중 기준” 등 관념적인 표현을 통해 청일전쟁의 발발로 양국 관계가 재편되기 전까지의 양국 관계를 과도기적 단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상 이 시기의 조청 관계를 두고 관념적 차원을 넘어 그 실상이 어떠했는지 대해서도 알아볼 필요가 있다. 현실적인 측면에서 19세기 말 양국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이 글에서는 같은 시기 조선 정부가 편집·제작한 대외관계 자료집인 『화안(華案)』에 수록하고 있는 문건과 그 형식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화안』에 수록하고 있는 조선과 청 간의 문건은 당시 조청 관계의 진상이 어떠한지를 알려주고 있는 중요한 가치를 가진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 『화안』에 수록되어있는 공문 중에는 자문뿐만 아니라 조회·함문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형식의 공문이 시기별로 사용되는 빈도와 내용의 변화는 당시 양국 관계의 추이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가 된다. 1882년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의 반포 이후 조청 양국 간 자문·조회·함문의 병용은 전통적 체제에서 근대적 체제로 넘어오는 과도기의 현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 실상은 청 조정의 예부·북양아문·지방장군 간의 경쟁 관계가 조선 사무 관장을 둔 것에 원인이 있다. 무역장정으로 조선과 청이 해관 무역을 전개함에 따라 북양아문의 지휘를 받는 상무위원이 조선에 상주하게 되고 이들이 조선과의 사무를 처리하기 위해 조회 및 함문의 형식이 활용되었다. 한편 자문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조선 국왕과 예부를 수발자로 사용되면서 문서 형식의 병용 현상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즉 19세기 말 이러한 과도기적 현상은 전통과 근대의 병존이 아닌, 청 내부 권력 경쟁이 대외 사무의 처리와 정책에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조청 간 해관무역의 개시와 조회의 사용은 양국 관계에서 전례가 없는 사례임은 분명하지만, 그 이면의 양국 관계는 여전히 전통적인 관계와 그 관습에 입각하고 있었다. The dual structure of Joseon-Qing relations in the 19 th century was expressed as Yoo Gil-jun’s “Yang-jeol System(Diplomatic overlapping system)”, and through ideological expressions such as “One diplomacy, Two systems” and “Double standar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recognized as a transitional stage before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1894). However, in fact, it will be necessary to find out what the reality was like beyond the ideological dimension regarding the Joseon-Qing relations of 19 th century.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seon-Qing two countries in the 19 th century, this article focused on the documents contained in “Hwa-an”, a collection of foreign relations compiled and produced by the Joseon government. The documents between Joseon and Qing contained in “Hwa-an” can be said to have an important value that tells the tru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Qing relations at this era. Among the official documents contained in this source book, not only traditional ‘report(Ja-mun)’ but also modern ‘communications(Jo-hoe)’ and ‘letters(Ham-mun)’ are included, and the frequency and content of each form of official document are important indicators for understanding the changing trend of relations. After the distribution of the “he Regulations for Maritime and Overland Trade between Chinese and Korean Subjects” in 1882, the combination of ‘report(Ja-mun)’, ‘communications(Jo-hoe)’, and ‘letters(Ham-mun)’ was recognized as a transition from the traditional system to the modern system. However,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within the Qing Court between Qing Ministry of Rites, government office of the northern ports, and government office of local generals has competed for the authority to work related to Joseon. As Joseon and Cheong developed maritime trade, the Commissioners of Trade under the direction of office of the northern ports stationed in Joseon, and the form of ‘communications(Jo-hoe)’, and ‘letters(Ham-mun)’ was used to handle their affairs with Joseon. On the other hand, as in the past, the Joseon king and Qing Ministry of Rites were used as ‘report(Ja-mun)’, resulting in a combination of document utilization. In other words, at the end of the 19 th century, this transitional phenomenon is not a coexistence of tradition and modernity, but a result of the internal power competition within the Qing Court being reflected in the handling of external affairs and policies. It is clear that the initiation of maritime trade and the use of inquiry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unprecedented in bilateral relations, but the relationship behind it was still based on traditional relations and its customs.
Bibliography:The Society for Chinese Studies
ISSN:1226-85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