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폭력 관련 상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가정폭력 피해여성, 행위자, 부부, 가족 대상 개인 및 집단 상담치료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1995~2021년 국내에서 발표된 86편의 가정폭력 피해여성, 행위자, 부부, 가족 대상 상담치료 프로그램 관련 연구의 대상별, 개인(개별)과 집단별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피해여성 관련 프로그램 연구(집단 39편, 개인 7편)에서는 개인과 집단 프로그램 모두 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 등 심리적 변인군에서 가장 높은 빈도의 효과가 나타났다. 행위자 대상 프로그램(집단 20편, 개인 1편)에서는 자아존중감 향상, 분노 감소 등 심리적 변인군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여주었고, 폭력행위감소 및 중지 효과도 나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여성학연구 Vol. 32; no. 2; pp. 39 - 85
Main Authors 이향희, Lee Hyang-hee, 최희경, Choi Hee-ky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31.10.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1995~2021년 국내에서 발표된 86편의 가정폭력 피해여성, 행위자, 부부, 가족 대상 상담치료 프로그램 관련 연구의 대상별, 개인(개별)과 집단별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피해여성 관련 프로그램 연구(집단 39편, 개인 7편)에서는 개인과 집단 프로그램 모두 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 등 심리적 변인군에서 가장 높은 빈도의 효과가 나타났다. 행위자 대상 프로그램(집단 20편, 개인 1편)에서는 자아존중감 향상, 분노 감소 등 심리적 변인군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여주었고, 폭력행위감소 및 중지 효과도 나타났다. 부부 대상 프로그램 연구(개별 7편, 집단 6편)에서는 부부 의사소통 향상 등 가족 변인군에서 효과 빈도가 가장 높았고, 행동적 변인군 중 폭력 및 공격행동 감소 효과도 나타났다. 가족 대상 프로그램(개별 6편, 집단 1편)에서는 자녀양육 능력 향상과 부모자녀 관계의 긍정적 변화 등 가족 변인군의 효과 빈도가 가장 높았고, 부정적 심리적 문제 및 행위자의 폭력행동 감소 효과도 일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피해여성 대상 상담치료 프로그램의 권력 강화와 사회적 지지 촉진 내용 강화, 행위자 대상 프로그램의 실질적 폭력 근절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전략실행, 피해여성의 상황과 선택에 따라 안전이 엄격히 보장되는 환경에서 부부 및 가족대상 상담치료 프로그램 실행, 가족치료 프로그램의 중요성, 대상과 방법에 상응하는 프로그램 효과를 도출하기 위한 노력, 일관되고 통합적인 목표 설정 및 가정폭력 관련상담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정의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counseling and therapy programs concerning domestic violence focused on individual and group programs for victims, batterers, couples and families by reviewing 86 academic journal theses published in Korea from 1995 to 202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ffectiveness such as self respect and depression of the psychological variable group was most frequently shown in both individual and group programs for victims in 46 studies(group 39, individual 7). Also in programs for batterers,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self respect and anger were most highly effective while showing only partial effect on suspending the violence in 21 studies(group 20, individual 1). The variable such as couple communication of the family variable group was most frequently shown with the effect of suspending violence in both individual and group programs for couples in 13 studies(group 6, individual 7). The variables of family variable group were shown most often in programs for families in 7 studies(group 1, individual 6) with the effect of reducing negative psychological problems.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development of counseling and therapy programs regarding domestic violence as follows: promoting rights, independence and social supports for victims; implementing practical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effect of suspending violence; implementing couple programs under safe environment protecting victims’ choice; making efforts for drawing program effects in consistence with target and methodology of the program; the importance of family therapy; integrative goal setting; and defining the accurate ‘effect’ of counseling and therapy programs concerning domestic violence.
Bibliography:Women`s Studies Center , Pusan National University
ISSN:1598-95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