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 구문과 양보 구문의 통사의미론

표준적인 형식의미론에서의 의미 형식은 단언 부분과 전제 부분을 가진다. ‘-으면, -어야, -거든, -었더라면, -었던들’의 조건 연결어미들은 단언 부분에서 가능세계들에 대한 양화로 표시되는 양상의 영향권 안에 실질함언의 조건 형식(구체적인 양상기반, 순서근거 함수가 항상 선택되므로 실제로는 엄밀함언이 된다)으로 기술되는 점에서 공통된다. ‘-어도, -더라도, -을지라도, -을망정, -을지언정, -기로서니, -은들’의 양보 연결어미들은 단언 부분보다 그 정의 성립 조건 부분에서 전제 의미(선행절의 가정에서 후행절의 귀결이 성립되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배달말 Vol. 67; pp. 51 - 91
Main Authors 양정석, Yang Jeong-seo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배달말학회 30.1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표준적인 형식의미론에서의 의미 형식은 단언 부분과 전제 부분을 가진다. ‘-으면, -어야, -거든, -었더라면, -었던들’의 조건 연결어미들은 단언 부분에서 가능세계들에 대한 양화로 표시되는 양상의 영향권 안에 실질함언의 조건 형식(구체적인 양상기반, 순서근거 함수가 항상 선택되므로 실제로는 엄밀함언이 된다)으로 기술되는 점에서 공통된다. ‘-어도, -더라도, -을지라도, -을망정, -을지언정, -기로서니, -은들’의 양보 연결어미들은 단언 부분보다 그 정의 성립 조건 부분에서 전제 의미(선행절의 가정에서 후행절의 귀결이 성립되는 것이 성립되지 않는 것보다 기대됨에 있어서의 부합도가 낮다)를 표현한다는 공통의 특징이 있다. 양보 연결어미들은 그 전제 의미 안에도 양상 의미 형식을 포함한다. 선행절 ‘p’나 후행절 ‘q’에 대한 전제 내용의 차이에 따른 조건 연결어미, 양보 연결어미 각각의 의미를 서로 구별하여 형식화하고, 각 연결어미의 의미 정의와 각 연결어미가 형성하는 문장의 통사구조를 바탕으로, 그 문장 의미를 표준적 형식의미론의 방법으로 기술할 수 있음을 보였다. A formal semantic analysis of 5 conditional conjunctive endings and 7 concessive conjunctive endings in Korean is proceeded. Their lexical semantic descriptions basically contain modal semantic forms in terms of Kratzer’s theory of modality. Each conditional ending is characterized by the modal base or ordering source function it has. Each concessive ending is characterized by the difference of the way its presupposition is encoded, i.e., the semantic forms of ‘-eto, -telato, -ulcilato’ have a presupposition form with a comparison of “alternatives” in terms of Rooth’s(1985, 1996) Alternative Semantics, while the semantic forms of ‘-ulmangceng, -ulcienceng’ have a presupposition form with a comparison of just two conditional forms, which are the affirmative and the denial of the consequence, and further, the semantic forms of ‘-kiloseni, -untul’ have a presupposition form which has an extreme on a scale but the format of exhibiting alternative is different with each other.
Bibliography:Korean Language & Literature Society
ISSN:1229-1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