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사변 이후 ≪동아일보≫의 시국 인식과 전시대응

이 글은 1937년 7·7사변부터 1940년 4월 강제 폐간될 때까지 ≪동아일보≫의 기사를 통해 중일전쟁시기 식민지 한국 언론의 시국인식과 전시대응, 대중국관 등을 파악한 것이다. 만주사변 이후 계속된 전시상황은 일본의 경제위기와 사회불안을 가중시켰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일본은 중국침략을 서둘렀는데 1937년 7월 7일 루거우차오사건을 계기로 삼았다. 중일전쟁은 처음부터 일본의 치밀한 계획 아래 준비, 진행되었고 조선총독부의 대응도 마찬가지였다. 우선 국내의 정치 동요나 사회 혼란을 우려하면서 유언비어 유포 및 경제 문란과 무질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중국학보 Vol. 92; pp. 191 - 217
Main Authors 李在鈴, Lee Jaery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중국학회 30.05.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이 글은 1937년 7·7사변부터 1940년 4월 강제 폐간될 때까지 ≪동아일보≫의 기사를 통해 중일전쟁시기 식민지 한국 언론의 시국인식과 전시대응, 대중국관 등을 파악한 것이다. 만주사변 이후 계속된 전시상황은 일본의 경제위기와 사회불안을 가중시켰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일본은 중국침략을 서둘렀는데 1937년 7월 7일 루거우차오사건을 계기로 삼았다. 중일전쟁은 처음부터 일본의 치밀한 계획 아래 준비, 진행되었고 조선총독부의 대응도 마찬가지였다. 우선 국내의 정치 동요나 사회 혼란을 우려하면서 유언비어 유포 및 경제 문란과 무질서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였다. ≪동아일보≫는 임정 및 조선의용대가 중국군과 함께 항일투쟁에 나서고 있음을 보도하였다. 또 서양 각국의 동향과 중국의 대응을 주목했는데 대내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대외여건의 변화 곧, 영국·미국의 참전을 기다리겠다는 중국의 전략을 간파하였다. ≪동아일보≫의 전쟁기사는 전황 및 전망에 대한 한인들의 호기심과 독립의지를 불러일으켰다. 이 때문에 조선총독부는 국내외 독립운동의 불길이 되살아날까 우려하며 강경 대응에 나섰다. 일본은 개전과 동시에 만주사변처럼 단기간 내에 중국의 타협을 끌어내려는 의도였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난징정부는 신속한 무력대응과 전면 항전 의지로 맞섰다. 당혹한 일본은 더 이상의 확전과 제삼국의 개입을 차단하려 했으나 결과는 달랐다. 장기전, 전면전의 소용돌이 속에서 일본의 전쟁역량은 한계가 뚜렷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언론매체와 시국강연회를 통해 국방헌금, 승전기원 홍보, 전시체제의 구축 등을 연일 강조하고 나섰다. 이때 ≪동아일보≫ 논조는 중국의 장기항전에 대한 즉 자적 반사 대응보다 장기건설에 초점을 맞추었고, 전쟁발발 일년 만에 병참기지로 바뀐 한국은 대륙침략의 가장 큰 희생물이었다. 1940년대 들어서 중일전쟁이 아시아·태평양지역으로 확산되었다. ≪동아일보≫는 일본의 대소전력소모와 중일전쟁의 장기화로 원래 목표였던 동아신질서 건설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렇지만 식민당국은 제삼국의 간여를 배격하면서 관민일체와 전시총동원체제를 강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등이 폐간되어 식민지 민영언론의 종언을 고하였다. This essay is to grasp the Korean media’s situational awareness, wartime responses, and perspectives on China during the Sino-Japanese War period depending on the Dong-a Ilbo’s articles from the Marco Polo Bridge Incident in July, 1937 to its enforced discontinuance in April, 1940. The continuous waring situation since the Manchurian Incident aggravated Japan’s economic crisis and social unrest. In order to resolve them, Japan hastened the invasion toward China, and the Lugou Bridge Incident on July 7, 1937 became the momentum. The Sino-Japanese War was prepared and progressed under Japan’s precise plans, and the responses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were the same. Priorly,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was concerned about domestic political disturbance and social unrest, and strengthened its control over the spread of false rumors, the economic disorder, and the disorderly acts. The Dong-a Ilbo reported that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Korean Volunteer Corps(朝鮮義勇隊) along with Chinese army got involved into the anti-Japanese resistance. Also, the newspaper paid attention to the trends in Western countries and China’s responses, so read through China’s strategy waiting the changes in external conditions, which was the UK’s and the US’s participation into the war, despite the internal difficulties. The Dong-a Ilbo’s war articles raised Koreans’ curiosity about the war situation and prospects, and their will for independence. For the reasons,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worried about the possibility that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might revive internally and externally, so it strictly responded to them. Japan intended to derive China’s compromise within a short term from the burst of war, just like the Manchurian Incident. However, unlike its prediction, the Nanjing government resisted with quick military responses and will of full-scale war. Bewildered Japan tried to block further expansion of the war and third-party intervention, but the results were different. Amid the vortex of long-term and full-scale war, Japan’s war capabilities were clearly limite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mphasized the national defense donations, the promotions for the victory-prayer, and the establishment of wartime system through media outlets and lectures on the situations. At that time, the Dong-a Ilbo focused more on long-term construction than on the immediate response of long-term punishment against China’s long-term resistance; and within a year of the outbreak of the war, Korea became the biggest victim. Entering into 1940’s, the Sino-Japanese War extended throughout the Asian-Pacific region. The Dong-a Ilbo predicted that it would not be easy to reach the original goal of East-Asian new order due to Japan’s military strength consumption against the Soviet Union and the prolonged Sino-Japanese War. However, the colonial authorities rejected the involvement of third countries, and strengthened the unity between government and people and the wartime mobilization system. Within this process, the Dong-a Ilbo and the Chosun Ilbo were enforced to cease their publication, thus colonial private media came to an end.
Bibliography:The Society for Chinese Studies
ISSN:1226-850X
DOI:10.35982/jcs.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