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과목 편성ㆍ운영 실태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2015개정 교육과정의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을 처음 실행한 2018년 한해 동안 통합과학 과목이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총 258명의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제 학교현장에서 통합과학이 어떻게 편성ㆍ운영되고 있는지, 통합과학 교수·학습 및 평가 실태는 어떠한지, 교사공동체 운영 현황과 통합과학 교육과정 실행을 위해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통합과학을 8단위로 편성하는 학교와 6단위로 편성하는 학교가 비슷한 비율...
Saved in:
Published in | 과학교육연구지 Vol. 43; no. 1; pp. 64 - 78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30.04.201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개정 교육과정의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을 처음 실행한 2018년 한해 동안 통합과학 과목이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총 258명의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제 학교현장에서 통합과학이 어떻게 편성ㆍ운영되고 있는지, 통합과학 교수·학습 및 평가 실태는 어떠한지, 교사공동체 운영 현황과 통합과학 교육과정 실행을 위해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통합과학을 8단위로 편성하는 학교와 6단위로 편성하는 학교가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며, 한 학급의 통합과학 수업을 복수의 교사가 담당하는 경우가 2/3 정도에 이르고 있고, 아직도 강의형 통합과학수업 방식이 대세를 있으며, 과학교사들은 경력에 따라 비전공영역 이해 부족이나 통합적 수업설계에 대한 부담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에 대한 인식 제고, 교사 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원, 통합과학 현장안착을 위한 지원 방안, 과학교사 자격증 체제에 대한 점검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Integrated Science, a new subject introduced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implemented in 2018 when it was first enacted at the school level. Through a survey of 258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we explored how Integrated Science was organized and implemented at the school level, how teaching & learning and assessment were conducted in Integrated Science courses, how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were operated, what kinds of support are required for the settlement of Integrated Science, etc.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A similar ratio is found between schools with eight units and schools with six units of integrated science, and in about 2/3 of surveyed schools, multiple teachers are in charge of Integrated Science lessons per classroom. In addition, lecture-type teaching methods are still dominant in the majority of the classes, and science teachers have difficulties with lack of understanding of non-major areas or burden of designing integrated teaching depending on their teaching experiences, and so on. Discussed and suggested in the conclusion are ways to raise awareness of curriculum integration, ways to support for activat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ways to support the settlement of Integrated Science, and reexamining the system of science teacher certification. |
---|---|
Bibliography: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ISSN: | 1225-39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