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헐외사시 수술 후의 장기 성적: 운동기능과 감각기능 성과에영향을 미친 인자의 분석

목적: 간헐외사시 수술 후 장기관찰이 가능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과 감각기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간헐외사시 수술 후 재수술을 포함하여 3년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단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 50명, 양안 외직근후전술 4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사시각 및 입체시 성적에 따라 우수군, 적정군, 실패군으로 나누고 수술성공률과 수술성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첫 수술 후 4.81 ±...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aihan angwa haghoi jabji Vol. 55; no. 7; pp. 1064 - 1070
Main Authors 백지선, Ji Sun Baek, 조명진, Myung Jin Cho, 김응수, Ungsoo Samuel Kim, 김용란, Yong Ran Kim, 공상묵, Sang Mook Kong, 백승희, Seung Hee Baek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안과학회 15.07.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간헐외사시 수술 후 장기관찰이 가능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과 감각기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간헐외사시 수술 후 재수술을 포함하여 3년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단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 50명, 양안 외직근후전술 4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사시각 및 입체시 성적에 따라 우수군, 적정군, 실패군으로 나누고 수술성공률과 수술성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첫 수술 후 4.81 ± 1.30년이었다. 사시각만 고려한 운동기능성과는 우수군 59.3%, 적정군 25.9%, 실패군14.8%이고, 사시각 및 입체시를 동시에 고려한 감각기능성과는 우수군 51.9%, 적정군 22.2%, 실패군 25.9%이었다. 두 가지 기준의결과 모두 첫 수술이 양안 외직근후전술이면서 우수군에 속하는 경우는 없었고(운동기능 p=0.03, 감각기능 p=0.044), 첫 수술 후재발되어 재수술을 받은 경우 우수군 및 적정군에 속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운동기능 p=0.009, 감각기능 p=0.02). 결론: 간헐외사시 수술 후 사시각만 고려한 수술성공률은 85.2%, 감각기능을 고려한 성공률은 74.1%였다. 두 가지 기준의 결과 모두수술 후 초기 과교정은 장기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첫 수술이 단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인 환자와 재수술을 받은환자가 성공군에 속하는 경우가 많았다. 장기적으로 좋은 성과를 위해서는 필요한 경우 적극적인 재수술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long-term surgical success rate (>3 years) and contributing success factors considering motor andsensory criteria for patients with intermittent exotropia. Methods: Fifty-four patients who received surgery for intermittent exotropia and were followed-up for a minimum of 3 years, includingreoperation,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first procedure was unilateral recession and resection in 50 patientsand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in 4 patients. Patients were classified as achieving a good, fair or poor outcome based onmotor and sensory criteria. Success rate and associated factors such as postoperative alignment, exotropia type, first surgicalprocedure, and proportion of patients receiving reoper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mean follow-up period after the first surgery was 4.81 ± 1.30 years. The good outcome was achieved in 32 patients(59.3%), fair in 14 patients (25.9%), and poor in 8 patients (14.8%) considering motor criteria only. The good outcome was achievedin 29 patients (51.9%), fair in 12 patients (22.2%), and poor in 14 patients (25.9%) when considering combined motor/sensory (functional) criteria. No patient who received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as the first procedure belonged to thegood outcome group (p = 0.03 by motor criteria and p = 0.044 by functional criteria). Patients who received reoperation were significantlymore likely to be in the good and fair groups (p = 0.009 by motor criteria and p = 0.02 by functional criteria). Conclusions: Long-term surgical results of intermittent exotropia in this Korean population revealed 85.2% motor success rate and74.1% functional success rate. Early postoperative overcorrection was not associated with long-term success. Recession and resectionprocedure and reoperation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etter outcome based on motor and functional criteria. Diligentreoperations after the first surgery could possibly contribute to good long-term functional outcome in intermittent exotropia patients.
Bibliography: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ISSN:0378-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