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철학에서 "절대자의 철학"으로 -셸링 철학의 출발점에 대한 고찰

헤겔과 더불어 독일관념론을 형성하고 전개시켰던 젊은 철학자 셸링을 철학으로 이끌었던 문제는 무엇이었을까? 그의 철학적 단초는 무엇이었기에 이후 이어지는 철학적 여정 속에서 매번 새로운 체계가 출현하게 되는 것일까? 본 논문은 셸링의 철학적 출발점이 어디로부터 형성되고 전개되는지 그리고 그 한계는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이 고찰 속에서 셸링은 왜 자아를 원리로 하는 철학, 즉 ‘자아철학’을 포기하고 ‘절대자의 철학’으로 이행하는지 그리고 자연으로 탐구영역을 확대시키는지가 드러날 것이다. 그의 첫 번째 저술인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칸트연구 Vol. 32; pp. 223 - 246
Main Authors 이광모, Kwang Mo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칸트학회 15.1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헤겔과 더불어 독일관념론을 형성하고 전개시켰던 젊은 철학자 셸링을 철학으로 이끌었던 문제는 무엇이었을까? 그의 철학적 단초는 무엇이었기에 이후 이어지는 철학적 여정 속에서 매번 새로운 체계가 출현하게 되는 것일까? 본 논문은 셸링의 철학적 출발점이 어디로부터 형성되고 전개되는지 그리고 그 한계는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이 고찰 속에서 셸링은 왜 자아를 원리로 하는 철학, 즉 ‘자아철학’을 포기하고 ‘절대자의 철학’으로 이행하는지 그리고 자연으로 탐구영역을 확대시키는지가 드러날 것이다. 그의 첫 번째 저술인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를 중심으로 전개될 이 고찰은, 특히 그가 일반적으로 이해되듯이 그렇게 피히테의 학생으로 철학을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출발점에서부터 스피노자와 라이프니츠의 철학에 의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고유한 철학적 지평을 소유하고 있었다는 것 또한 보여줄 것이다. What was the Problem which led the young Schelling developing the german idealism together Hegel to philosophy? What was his starting point which made him in his philosophical odyssey have to change the standpoints each time? This paper inquires into where the starting point of Schelling`s Philosophy did come from, and along which way it developed, and where were there its Limits? It will be exposed in this inquiring, why Schelling gave up the ‘IPhilosophy’ and went to the ‘philosophy of the absolute’ and expanded the domain of inquiry into the nature. This inquiry goes along with Schelling`s first work, ‘Vom Ich als Prinzip der Philosophie’(1794). It will become known in the End of the inquiry that Schelling had a start not as Fichte`s student as it is made out to be, but he depended on Spinoza` and Leibnitz` philosophy, and already had his own philosophical horizon.
Bibliography:Koreanische Kant-Gesellschaft
ISSN:1598-9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