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 동기수준에 따른 맥락간섭 효과가 골프 칩샷 향상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동기수준에 따른 맥락간섭효과가 골프 칩샷 과제의 학습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밝혀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총 54명의 중학교 남학생으로, 사전에 실시한 동기수준 검사를 통하여 고동기 그룹과 저동기 그룹(각각 분단 연습조건 그룹 9명, 무선 연습조건 그룹 9명, 점진적 연습조건 그룹 9명)에 각각 27명씩의 피험자가 무선으로 할당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과제는 골프 칩샷 과제로서, 습득단계는 2(동기수준) × 3(연습조건) × 6(분단)으로, 즉각 파지검사 및 전이검사는 각각 2(동기수준) ×...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eyuk kwahak yŏn'gu Vol. 19; no. 3; pp. 106 - 116
Main Authors 육동원, Dong Won Yook, 권승민, Seung Min Kwon, 홍석범, Seog Beom Hong, 김지수, Ji Soo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30.09.200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동기수준에 따른 맥락간섭효과가 골프 칩샷 과제의 학습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밝혀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총 54명의 중학교 남학생으로, 사전에 실시한 동기수준 검사를 통하여 고동기 그룹과 저동기 그룹(각각 분단 연습조건 그룹 9명, 무선 연습조건 그룹 9명, 점진적 연습조건 그룹 9명)에 각각 27명씩의 피험자가 무선으로 할당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과제는 골프 칩샷 과제로서, 습득단계는 2(동기수준) × 3(연습조건) × 6(분단)으로, 즉각 파지검사 및 전이검사는 각각 2(동기수준) × 3(연습조건) × 3(분단)의 요인 설계 하에 이루어 졌다. 분석결과는 첫째, 습득단계에서는 고동기-점진적 연습 조건 그룹이 가장 우수한 수행을 한 것으로 나타났고, 동기수준에 따라서는 고동기 수준 그룹이 저동기 수준 그룹 보다 그리고 연습 조건에 따라서는 점진적 연습조건 그룹과 분단 연습조건 그룹이 무선 연습조건 그룹 보다 우수한 수행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즉각 파지검사에서 동기와 분단간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르면, 분단이 진행 될수록 고동기 수준 그룹이 저동기 수준 그룹보다 우수한 수행을 하였고, 동기수준에 따라 고동기 수준 그룹은 분단이 진행 될수록 유의한 수행점수가 나타났지만, 저동기 수준 그룹에서는 3분단의 수행만 1, 2분단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연습조건은 점진적 연습조건 그룹이 분단과 무선 연습조건 그룹 보다, 무선 연습조건 그룹이 분단 연습조건 그룹 보다 우수한 수행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이검사에서는 즉각 파지검사의 주 효과 분석과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기수준과 연습조건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설명하지는 못하였지만, 새로운 연습조건인 점진적 연습조건의 우수성을 밝혀주는 계기가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fluence of contextual interference effect on students` golf chip shot learning and to provide more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various students who have different level of motivation. The subjects were 54 middle school 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 test of motivation level, 54 subjects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a highly motivated group or a low motivated group(each 9 block practice condition students, 9 random practice condition students and 9 gradual practice conditions). The task used in this research was golf chip shot task. Before acquisition phase,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pilot te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olf chip shot skill between six groups after analysing the data from pilot test.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2(motivation level) × 3(practice condition) × 6(block)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factor for acquisition test and 2 × 3 × 3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 measures on last factor for retention and transfer test. The following results presented. First, the high motivated-gradual practice condition group did most effective performance in acquisition phase and high-motivated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low-motivated group at motivation level. Moreover, gradual and block practice condition groups were more effective than random practice condition group. Second, according to immediately retention phase` interaction of motivation × blocks, high-motivated level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low-motivated group and high-motivated level group displayed significant effect during acquisition phase. In main effect analysis, gradual practice condition group more effective than random and block practice condition group and random practice condition group more effective than block practice condition group. Finally transfer test also revealed that main effect analysis had same result with immediately retention phase. Even though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motivation level and practice condition, the study revealed that gradual practice condition was most effective method to learn golf chip shot skill.
ISSN:1598-2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