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을 통한 슬개-대퇴 관절 정렬의 분석
목적: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정상 한국인에서 슬개-대퇴 관절 정렬의 평균치를 알아보고 좌우 및 남녀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증상의 병력이 없으며 이학적 검사에서 정상 소견을 보인 한국 성인 남자 45명, 여자 45명, 180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2.2세(범위: 24∼66세)였으며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은 앙와위에서 슬관절을 15도 굴곡하여 시행하였다. 슬개-대퇴 정렬은 구각, 일치각, 슬개골 경사각, 후과-슬개골 간 경사각, 후과-대퇴외과 간 경사각을 이용하여 측정...
Saved in:
Published in | 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Vol. 20; no. 1; pp. 1 - 6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슬관절학회
30.06.200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정상 한국인에서 슬개-대퇴 관절 정렬의 평균치를 알아보고 좌우 및 남녀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증상의 병력이 없으며 이학적 검사에서 정상 소견을 보인 한국 성인 남자 45명, 여자 45명, 180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2.2세(범위: 24∼66세)였으며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은 앙와위에서 슬관절을 15도 굴곡하여 시행하였다. 슬개-대퇴 정렬은 구각, 일치각, 슬개골 경사각, 후과-슬개골 간 경사각, 후과-대퇴외과 간 경사각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구각 평균치는 남자 145.9°±8.9, 여자 149.4°±9.7, 일치각은 12.6°±22.7과 12.0°±19.6, 슬개골 경사각은 9.9°±6.0과 8.5°±4.3, 후과-슬개골 간 경사각 중 facet angle은 14.2°±7.1과 11.8°±4.8, 후과-슬개골 간 경사각 중 axis angle은 -8.5°±7.7과 -10.6°±6.1, 후과-대퇴외과 간 경사각은 15.5°±7.6과 16.4°±4.0으로 측정되었다. 좌우 측정값 간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남녀 각각의 측정평균치는 구각과 후과-슬개골 간 경사각 중 axis angle이 남녀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3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정상 한국인의 슬개-대퇴 관절 정렬을 측정하여 한국 성인평균치를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슬개-대퇴 관절 부정 정렬의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ex- and laterality-specific patellofemoral alignment using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CT) in normal Korean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90 patients (45 men, 45 women; 180 knees) with no history of anterior knee pain or malalignment by physical examination. The mean patient age was 42.2 years (Range: 24∼66 years). 3D-CT scanning was performed with each patient in the supine position with 15° of knee flexion. Patellofemoral joint alignment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sulcus angle, congruence angl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 condyle-patellar angle, and condyle-lateral angle. Results: Comparing men and women, respectively, the sulcus angles were 145.9° ±8.9 and 149.4° ±9.7, the congruence angles were 12.6° ±22.7 and 12.0° ±19.6, the lateral patellofemoral angles were 9.9° ±6.0 and 8.5° ±4.3, the condyle-patellar angles (lateral facets) were 14.2° ±7.1 and 11.8° ±4.8, the condyle-patellar angles (patellar axes) were ?8.5° ±7.7 and ?10.6° ±6.1, and the condyle-lateral angles were 15.5° ±7.6 and 16.4° ±4.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measurements between left and right knee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lcus angle and condyle-patellar angle between men and women (p<0.05). Conclusion: These data will hopefully serve as a basis for evaluating normal patellofemoral alignment and for diagnosing patellofemoral malalignment in Korean patients. |
---|---|
Bibliography: | Korean Knee Society |
ISSN: | 223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