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골의 골결손 여부에 따른 슬관절 전치환술 결과: 5년 이상 추시 관찰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을 실시한 환자에서 수술 전 경골 골결손 여부가 5년 이상 장기 추시시 슬관절 기능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관절염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42명의 환자 중 경골 골결손이 있었던 21례와 경골 골결손이 없었던 42례를 대상으로, 수술 전후 슬관절 및 기능 점수, American Knee Society 방사선적 평가 방법, 수술 전후 관절운동 범위, 주관적 만족도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 슬관절 및 기능 점수, 주관적 만족도는 두 군에서 수술 후 유의하게 호전 되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Vol. 18; no. 2; pp. 146 - 152
Main Authors 손욱진, Ook Jin Shon, 이동철, Dong Chul Lee, 김정래, Jung Rae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슬관절학회 31.12.200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슬관절 전치환술을 실시한 환자에서 수술 전 경골 골결손 여부가 5년 이상 장기 추시시 슬관절 기능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관절염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42명의 환자 중 경골 골결손이 있었던 21례와 경골 골결손이 없었던 42례를 대상으로, 수술 전후 슬관절 및 기능 점수, American Knee Society 방사선적 평가 방법, 수술 전후 관절운동 범위, 주관적 만족도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 슬관절 및 기능 점수, 주관적 만족도는 두 군에서 수술 후 유의하게 호전 되었으며, 두 군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방사선학적 평가에서는 두 군에서 대부분 경골 제 1, 2구역에서 방사선 투과성선이 관찰되었으나, 삽입물의 해리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시 경골 골결손이 있는 경우 골시멘트, 나사못을 보강한 자가골 이식술, 쐐기형 금속 보강 삽입물 등은 효과적인 수술 방법의 하나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whether tibial bone defect preceeding the surgery has an effect on the outcome of patients who have undergone total knee replacement therapy with an evaluation period of more than five years. Material and Method: Osteoarthritis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total knee replacement and evaluated for more than 5 years were selected, of which 42 patients were with tibial bone defects, and 21 without. Clinical evaluation were made on the basis of pre-and post-operative Knee Society Knee Score and Functional Score, radiological evaluation using the American Knee Society Score. and range of motion, tibio-femoral angle, subjective satisfaction, complication were evaluated. Results: Knee fuction scor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surgery, but comparison between the two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Radiological evaluation showed radiolucency in zone 1 and 2 of tibia in the majority of both groups, but dissociation of the inserted device was not shown. Conclusion: In the cases of tibial bone defect, bone cement, screw fixation enforced with autograft, and wedge metal insertions can be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treating patients by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y.
Bibliography:Korean Knee Society
ISSN:2234-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