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완 삼두근-보존 후방 도달법에 의한 원위 상완골 관절 내 골절의 치료

목적: 원위 상완골 관절내 골절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삼두근 보존 후방 도달법을 시행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상완 삼두근 보존 후방 도달법을 사용하여 관혈적 정복술 및 내 고정술을 시행한 후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총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명, 여자가 3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31세 (17∼58세)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16.3개월 (12∼20개월)이었다. OTA골절 분류에 근거하여 골절형에 따라 상완 삼두근 보존 후방 도달법을 사용하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골절학회지 Vol. 19; no. 1; pp. 51 - 55
Main Authors 이석하, Suk Ha Lee, 이성태, Sung Tae Lee, 박진영, Jin Young Park, 금정섭, Jung Sup Keum, 백종륜, Jong Ryun Baek, 오광준, Kwang Jun Oh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골절학회 25.01.200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원위 상완골 관절내 골절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삼두근 보존 후방 도달법을 시행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상완 삼두근 보존 후방 도달법을 사용하여 관혈적 정복술 및 내 고정술을 시행한 후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총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명, 여자가 3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31세 (17∼58세)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16.3개월 (12∼20개월)이었다. OTA골절 분류에 근거하여 골절형에 따라 상완 삼두근 보존 후방 도달법을 사용하였으며, 골절의 분류는 OTA type A가 2례, type C1 5예 그리고 2예가 C2였다. 수술은 주관절 후방 중앙 절개를 통해 상완 삼두근에 손상을 주지 않고 삼두근 좌측과 우측을 박리하여 상완 삼두근의 내외측 가용성을 확보하여 골절 부위에 접근하였다. 치료 결과는 최종 추시 시 골유합 여부, 골유합에 걸린 시간과 합병증 유무와 함께 Mayo elbow performance score를 사용하여 주관절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결과: 주관절 굴곡은 평균 135.5도, 굴곡 구축은 평균 5.2도를 나타내었고, Mayo elbow performance score를 사용한 임상 결과는 excellent 6예, good 3예로 만족스런 결과를 얻었다. 1예에서 전방 전위된 척골 신경에서 압박성 신경 병증의 합병증이 관찰되었다. 결론: 삼두근 보존 후방 도달법은 원위 상완골 관절 내 골절 중 OTA C2형까지 적용시킬 수 있는 상완 삼두근 손상없이 원위 상완골 외측 주와 내측 주에 대한 수술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수술 술기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therapeutic results of intra-articular fracture of distal humerus treated through triceps sparing posterior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2001 to December 2003, we reviewed total 9 cases of intra-articular fracture of distal humerus, which were treated by surgical treatment and were followed more than for 12 months. According to the OTA classification, nine cases were classified as type A; two, as type C1; five, as type C2; two. Triceps sparing posterior approach was used in all nine patients. An extensile posterior incision was used over the olecranon without triceps muscle injury. Exposure of the fracture site was done by obtaining medial-lateral mobility through dissection of medial and lateral edge of triceps muscle. Therapeutic results were assessed by bone union, duration for fracture union, complication. and for functional estimation,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was checked and analysed. Results: The range of the elbow joint motion was flexion contracture 5.2 degree to further flexion 135.5 degree on average. Clinical results using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were as follows; six excellent, three good. Compressive neuropathy of ulnar nerve which has been done anterior transposition was observed in one patient. Conclusion: Triceps sparing posterior approach is useful surgical technique that provides sufficient exposure of medial and lateral condyle without injury of triceps muscle in intra-articular fracture of distal humerus to the extent of OTA type C2.
Bibliography:The Korean Society of Fractures
ISSN:1225-1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