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칸 및 알킬 방향족 탄화수소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탄화수소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공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정은 반응 구역 내로의 탄화수소-함유 공급물의 도입 단계, 접촉 단계, 및 도입 중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물은 반응 구역 내에서 촉매와 접촉하여 공급물의 탈수소화, 탈수소방향족화, 및/또는 탈수소고리화를 수행하여 코크스화된 촉매 및 유출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정은 반응 구역 내로의 산화제의 도입 단계, 접촉 단계, 및 도입 중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산화제는 코크스화된 촉매와 접촉하여 코크스의 연소를 수행함으로써 재생된 촉매를 생성할 수 있다....
Saved in:
Main Authors | , |
---|---|
Format | Patent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15.03.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발명은 탄화수소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공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정은 반응 구역 내로의 탄화수소-함유 공급물의 도입 단계, 접촉 단계, 및 도입 중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물은 반응 구역 내에서 촉매와 접촉하여 공급물의 탈수소화, 탈수소방향족화, 및/또는 탈수소고리화를 수행하여 코크스화된 촉매 및 유출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정은 반응 구역 내로의 산화제의 도입 단계, 접촉 단계, 및 도입 중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산화제는 코크스화된 촉매와 접촉하여 코크스의 연소를 수행함으로써 재생된 촉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정은 반응 구역 내로의 환원 가스의 도입 단계, 접촉 단계, 및 도입 중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환원 가스는 재생된 촉매와 접촉하여 재생 및 환원된 촉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정은 추가 분량의 공급물을 도입하는 단계 및 재생 및 환원된 촉매와 접촉하여 재-코크스화된 촉매 및 추가의 제1 유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rocesses for upgrading a hydrocarbon. The process can include introducing, contacting, and halting introduction of a hydrocarbon-containing feed into a reaction zone. The feed can be contacted with a catalyst within the reaction zone to effect dehydrogenation, dehydroaromatization, and/or dehydrocyclization of the feed to produce a coked catalyst and an effluent. The process can include introducing, contacting, and halting introduction of an oxidant into the reaction zone. The oxidant can be contacted with the coked catalyst to effect combustion of the coke to produce a regenerated catalyst. The process can include introducing, contacting, and halting introduction of a reducing gas into the reaction zone. The reduction gas can be contacted with the regenerated catalyst to produce a regenerated and reduced catalyst. The process can include introducing and contacting an additional quantity of the feed with the regenerated and reduced catalyst to produce a re-coked catalyst and additional first effluent. |
---|---|
Bibliography: | Application Number: KR202370041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