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방법 및 호이스팅 요크

리프팅 수단에 커플링된 호이스팅 요크를 사용하여 지면에서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는 방법이 설명되고, 호이스팅 요크의 빔형 지지 프레임은 물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지지 프레임의 단부 부분에 제공된 슬링들이 물체를 들어올린다. 상기 지지 프레임의 단부 부분에 제공된 제1 홀딩 수단으로 슬링의 제1 외부 단부를 홀딩하고, 상기 슬링을 상기 제1 홀딩 수단으로부터 상기 물체 부근의 위치까지 매달리게 하는 단계, 메신저 라인 윈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부 부분으로부터 메신저 라인을 인출하고, 상기 물체 아래로 이송하여 상기 제1 홀딩 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s MICHIELSEN JAN MARIA KOEN, VANNIEUWENHUYSE KENNETH GERARD, RABAUT DIETER WIM JAN, MOUWEN ROBIN
Format Patent
LanguageKorean
Published 12.10.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리프팅 수단에 커플링된 호이스팅 요크를 사용하여 지면에서 기다란 물체를 들어올리는 방법이 설명되고, 호이스팅 요크의 빔형 지지 프레임은 물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지지 프레임의 단부 부분에 제공된 슬링들이 물체를 들어올린다. 상기 지지 프레임의 단부 부분에 제공된 제1 홀딩 수단으로 슬링의 제1 외부 단부를 홀딩하고, 상기 슬링을 상기 제1 홀딩 수단으로부터 상기 물체 부근의 위치까지 매달리게 하는 단계, 메신저 라인 윈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부 부분으로부터 메신저 라인을 인출하고, 상기 물체 아래로 이송하여 상기 제1 홀딩 수단에 매달린 상기 슬링의 제2 외부 단부에 커플링하는 단계, 상기 슬링의 제2 외부 단부를 상기 단부 부분에 제공된 제2 홀딩 수단에 커플링하여, 상기 물체를 위해 상기 슬링들 중 하나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물체는 슬링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Described is a method for taking up an elongate object from a ground surface using a hoisting yoke coupled to a lifting means. A beam-like support frame of the hoisting yoke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bject and slings provided at end parts of the support frame take up the object. The object is taken up in a sling by holding a first outer end of a sling with a first holding means provided at an end part of the support frame and letting it hang down from the first holding means to a position in the vicinity of the object; paying out a messenger line from the end part using a messenger line winch, feeding it under the object and coupling it to a second outer end of the sling hanging from the first holding means; taking in the messenger line so that the sling is carried under the object and to the relevant end part; and coupling the second outer end of the sling to a second holding means provided at the end part, thus forming one of the slings for the object.
Bibliography:Application Number: KR20227030096